우리는 매우 좋다는 표시로 엄지척을 합니다.
우리는 매우 좋다는 표시로 엄지척을 합니다.
이것이 어디에서 유례 외었는지 궁금합니다. 누가 제일 먼저 하게되었고 언제 전세계로 퍼졌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최고' 혹은 '승인'의 의미로 사용되는 엄지 손가락을 드는 제스처는 로마시대 검투사들의 경기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검투사 경기에서 승리한 검투사는 패배한 검투사를 죽일 수 있었는데, 엄지를 내리는 제스처는 '죽이라'는 뜻이었고, 엄지를 올리는 제스처는 '살려두라'는 뜻이었다고 전해집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명확한 기원이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엄지손가락은, 위로 올리냐, 아래로 내리냐에 따라 의미가 달라집니다.
위로 올리는 행위는 영어권에서는 긍정적인 의미를 의미이지만, 중동, 서아프리카, 남아메리카에서는 모멸의 표현이라고 합니다. 기타 유럽 및 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는 외설적인 표현으로도 쓰인다고 합니다.
엄지손가락을 최고라고 치켜세우는 뜻으로 한 정확한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고대 로마의 검투사 경기에서 관객이 사용하던 패자를 용서하는 제스처가 유래라는 설이 있습니다. 경기에는 졌지만 아주 훌륭한 경기를 보였으니 살려주라는 뜻으로 엄지손가락을 위로 들었던 것에서 유래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엄지손가락을 아래로하면 패자를 죽이라는 의미였습니다.
언어학적으로 본다면
우리나라에서 엄지는 어머니의 '엄', 손가락 '지'로 과거 모계사회의 흔적이 남았다고 볼 수 있는 것으로 손가락 중에 가장 굵고 힘이 센 손가락이라는 뜻으로 엄지 즉, 어머니의 손가락의 의미입니다.
한자에서 살펴보면 엄지를 뜻하는 무지 拇指는 손 수手 변에 어미 모 母가 결합된 이름으로 우리말 엄지와 같은 뜻입니다.
기독교 수어에서도 하나님을 뜻하는 말이 있는데 그것이 우리가 쓰는 최고의 뜻과 같은 오른 쪽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우고 그 아래에 왼쪽 손바닥으로 받쳐 올리는 표현을 합니다.
여러가지 설이 있으나 해당 표현은 앞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중동, 서아프리카, 남아메리카에서는 모멸의 표현이라고 하니 그 쪽에서는 조심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영어에서는 이를 ‘썸업(thumbs up)’이라고 하는데 최고 라는 의미 이지요. ‘엄지척’은 국립국어원의 개방형 사전인 ‘우리말샘’에는 2016년 10월에 등재됐다고 합니다. 하지만 아직 공식적으로 사전에 등재된 표준어는 아닌데 국어원 등에서 절차를 밟아 순화한 것이 아니라 언중 사이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생긴 말로 보입니다. 영어 ‘썸업’을 우리말로 옮긴, 괜찮은 말로 평가할 만한데 이 엄지 척이 모든 나라에서 다 같은 의미를 같는 것은 아닙니다. ‘잘했어!’, ‘최고!’의 의미를 갖고 있는 엄지척을 부정적으로 받아들이는 나라가 꽤 있는데 호주에서 엄지를 올리는 것은 ‘거절, 무례함’을 뜻하며, 중동 국가에서는 ‘음란행위’, 러시아에서는 ‘성소수자’를 뜻한다고 하니 주의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