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청담사상으로 유명한 죽림칠현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노장사상과 함께 유행했던 청담사상은 죽림칠현으로 대표 된다고 하는데요.
7인의 죽림칠현은 어떤 인물들이며, 이들이 왜 유명한건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죽림칠현은 정권교체기에 부패한 정치권력에는 등을 돌리고 죽림에 모여 거문고와 술을 즐기며 청담으로 세월을 보낸 일곱 명의 선비를 말합니다. 위나라 말기 실세였던 사마씨 일족들이 국정을 장악하고 전횡을 일삼자 이에 등을 돌리고 노자의 무위자연 사상을 심취했으며 사회를 풍자하고 방관자적인 입장을 취하였으며 정치와는 무관하였습니다. 그들의 이름은 완적(阮籍)·혜강(嵆康)·산도(山濤)·향수(向秀)·유영(劉伶)·완함(阮咸)·왕융(王戎) 이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죽림칠현은 중국 위, 진의 정권교체기에 부패한 정치권력에는 등을 돌리고 죽림에 모여 거문고와 술을 즐기며 청담으로 세월을 보낸 일곱명의 선비로, 당시 사회를 풍자하고 방관자적인 입장을 취하였으며 정치와는 무관했습니다.
완적, 혜강, 산도, 향수, 유영, 와남, 왕융 입니다.
이들은 개인주의적 , 무정부주의적인 노장사상을 신봉해 지배권력이 강요하는 유가적 질서나 형식적 예교를 조소하고 그 위선을 폭로하기 위해 상식에 벗어난 언동을 하기도 했으며 이들은 위나라를 멸망시키고 진나라를 세운 사마씨의 일족에 의해 회유되어 해산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도가사상은 노자와 장자에 의해 나타난 사상으로 무위자연과 소요자유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도가사상이 한나라 초에는 황로학파로 전설적인 임금인 황제와 노자를 앞글자를 따서 만든 것으로 유가 불교사상까지 받아들인 사상이었습니다. 한나라 말에는 종교적 신앙체계가 되어 입교할 때 다섯되의 쌀을 바친데서 만들어진 오두미교와 태평도 등으로 발전하게 되었으며 위진남북조 시대에는 현학 즉 청담사상으로 철학적인 논변과 예술적 사유를 바탕으로 한 사상으로 나타나게 되었며 죽림7현 즉 자연과 더불어 살아간 7현자를 의미합니다. 완적 혜강 산도 유령 완함 향수 왕융 등 일곱명의 현자들을 치칭하는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