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서운 이야기를 접한 아이 어떻게 말해줘야 할까요?

2023. 01. 13. 08:57

6세 아이가 태권도장에서 신비아파트라는 만화에 나오는 이야기를 듣고 와서 제 옆에 꼭 붙어 있네요. 재미있긴 했는데 생각하니 무섭다고 잠깐도 혼자 있으려고 하질 않아요. 잘 웃고 잘 노는데 어두워지거나 혼자 해야 하는 상황에 꼭 붙어 있네요. 아이에게 무슨 이야기를 해줘야 할까요? 아님 이러면서 지나가겠지 하고 있음 되는 걸까요?


아하에 질문하고 궁금증을 해결하세요! 지금 가입하면 125AHT을 드려요! 아하에 질문하고 궁금증을 해결하세요! 지금 가입하면 125AHT을 드려요!

총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육아 / 심리 / 경제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언제든지 엄마아빠가 지켜줄 것이니

너무 걱정하지 말라고 안심시켜주시는 것이

필요할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2023. 01. 13. 21:11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

    사회복지,보육,노인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주변에서 들은 무서운 얘기로 인해 공포심을 느낀다면

    아이에게 그 공포심의 존재는 지어낸 얘기임을 인식시켜 줄 필요가 있습니다.

    아이들은 쉽게 공포심을 느낀다고 합니다. 이때 공포심의 대상이 없다는 부분을 명확히

    인지시켜준다면 일시적 행동으로만 보여지고 그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괜찮아 질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2023. 01. 13. 11:54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10세 미만의 어린이는 심리적 미성숙 때문에 스스로 현실과 허구를 구별하는 방법이 어렵습니다.

      무서운 영화를 보는 것은 불안, 빠른 심장 박동, 불면증, 불안, 악몽, 공포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되도록 공포감이 드는 영화나 책을 멀리 해야 합니다.

      아이가 편안한 마음이 들 수 있도록 따뜻한 가족의 분위기로 아이의 불안한 마음을 없애 줘야 합니다.

      2023. 01. 13. 09:16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무서운 장면들이 자꾸 떠올라서 힘들어하는 아이때문에 걱정이 많으시네요. 충분히 이해가 됩니다.

        아이들의 호기심은 참 다양합니다. 무섭지만 호기심을 사로잡은 무서운 이야기에 귀를 기울였나봅니다.

        당분간 더 재미있었지만 무서운 장면들이 상상이 될 것입니다.

        이렇게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아이들이 호기심이 많다고 말씀드린 것처럼 호기심을 느끼는 상황도 자주 변화합니다. 해서, 아이가 더 좋아하거나 가장 좋아하는 활동(더 좋아하는 책 읽어주기, 더 좋아하는 놀이해주기, 더 좋아하는 경험해주기 등)을 해주시면 금새 과거의 경험들은 점점 잊혀집니다. 새로운 즐거운 경험이 쌓이면 과거의 경험들이 하나씩 없어지는 것입니다.

        가능하다면 아이가 가장 좋아하는 행동을 몇가지 만들어주세요.

        - 아이가 좋아하는 행동을 새로 만들어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기 어렵다면 과거에 아이가 행복했던 경험을 상기시켜 주시는 것도 좋습니다. 아이 손을 꼭잡아주시거나 안아주시면서 '그때 우리 000에 갔었지, 그때 맛있는 00도 먹고 00도 봤지, 너는 그때 얼마나 행복했어?' , '그 때 행복했던 기억을 그림으로 그려볼까?, 일기로 써볼까' 등으로 아이가 무서운 장면을 기억할 틈을 없애주는 것입니다.

        ** 아이에게 대체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는 개념입니다. 화이팅하세요.

        2023. 01. 13. 09:08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