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망고마더77
망고마더7723.09.22

상대성 이론은 우주를 어떻게 설명하고 있나요?

아주를 논할때 상대성 이론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들었으나 실제로 정확한 의미 및 내용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는데 이란 상대성 이론에서 우주는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 알기 쉽게 간략히 설명을 부탁 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상대성 이론에서는 정적우주론을 주장하였는데, 우주가 중력에 의해 부분적으로는 휘어진 공간이 있을것이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어느부분에서나 동일한 밀도를 가지고 있을것이라고 본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한쪽의 밀도가 높게되면 우주가 그곳을 중심으로 수축하기 때문일 것이라는 의견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상대성 이론은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1905년에 제시한 이론으로, 시간과 공간의 개념을 재정의하고, 그것들의 상대성과 불변성을 주장합니다. 이론은 또한 질량과 에너지 간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며, 물리적 시스템의 운동을 다룹니다.

    상대성 이론은 우주의 구조와 운동을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됩니다. 이론에 따르면, 시간은 우주의 위치와 상관없이 일정한 속도로 흐르지 않습니다. 또한, 우주의 공간은 평평하지 않으며, 질량이나 에너지가 존재하는 지역에서는 왜곡됩니다. 이러한 왜곡은 중력을 생성하며, 우주의 물체들의 운동을 영향을 줍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는 특수상대성이론과 일반상대성이론 두 가지가 있습니다. 특수상대성이론은 말 그대로 모든 운동이 아닌 특수한 경우, 즉 등속운동을 할 때만 성립합니다. 속도가 계속 변하는 가속운동이나 회전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맞지 않습니다.

    그는 이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10년을 고민했는데 가속도 상황에도 적용되는 일반상대성이론을 완성해 ‘중력의 정체’를 밝혔습니다. 상대성이론은 한마디로 중력이론입니다.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강한 중력장 부근을 지나는 빛은 렌즈 속을 지나는 빛처럼 휘어지고, 수성의 근일점이 100년마다 43초씩 이동하며, 강한 중력장을 지나는 빛은 적색편이(천체의 스펙트럼선이 원래의 파장에서 파장이 약간 긴 쪽으로 치우쳐 나타나는 현상)를 일으킵니다. 여기서 가장 놀라운 사실은 빛이 중력에 의해서 휜다는 것입니다. 큰 별 주위의 우주 공간은 별의 강력한 중력 때문에 휘게 되는데, 이 휘어진 공간을 통과하는 것은 질량을 가진 물체든 질량이 없는 빛이든 모두 휘어진다는 것입니다. 공간만 휘는 것이 아니라 시간도 휩니다. 시간이 휜다는 것은 시간이 변한다는 말인데 이를테면 중력이 강한 곳에 있는 시계는 느려집니다.

    이 일반상대성이론이 우주가 한점에서 폭발해서 계속 팽창한다는 걸 증명해낸 이론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창안한 상대성 이론은 우주를 설명하는 두 가지 이론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나는 특수 상대성 이론이고, 다른 하나는 일반 상대성 이론입니다. 특수 상대성 이론은 빛의 속도가 일정하다는 가정 하에 우주를 설명합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관찰자의 운동 상태에 따라 시간과 공간이 상대적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빛의 속도로 이동하는 우주선 안의 승객은 지구에 있는 사람보다 시간이 느리게 흐른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 상대성 이론은 중력을 시공간의 곡률로 설명합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질량이 있는 물체는 시공간을 휘게 만들고, 이 휘어진 시공간에 따라 물체는 서로 끌어당기게 됩니다. 예를 들어, 태양은 질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시공간을 크게 휘게 만들고, 이로 인해 지구는 태양의 중력에 의해 공전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