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폐백을 하는 유래가 어떻게 되나요?

일반적으로 폐백을 할떄에 보면, 대추나 밤을 던져서 받고 하는 폐백 의식을 치르는데.

이런 폐백을 하게 된 유래나 이유가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폐백의 유래가 궁금하군요.

    "폐백"이란 한국인의 통과의례에서 결혼의 의례중 하나로, 혼례식을 마친 후 신랑집이나 예식장의 폐백실에서 신부가 신랑의 가족에게 정식으로 첫인사를 올리는 절차를 말합니다. 신랑, 신부가 절을 받은 시아버지는 폐백 대추를 시어머니는 폐백보를 "며느리의 흉허물을 덮어주겠다"는 뜻으로 쓰다듬어 주는 것에서 유래되었습니다.

  • Slow but steady
    Slow but steady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시대 부터 결혼식이 끝나면 어르신들이 대추나 밤을 던져 주시곤 했는데 그 의미는 대추는 씨가 있어서 아들을 상징하고 밤은 여자아이를 상징 해서 아들 딸 들을 많이 낳고 살아라 라는 뜻 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지금까지 전해져온 폐백은 제사와 혼례에서 찾아볼수있습니다.

    국가적 제례인 종묘제례같은 대향에서 폐백을 사용했고, 예기에서는 종묘제례와 같은 대향에 신에게 선물로 폐백을

    올리는 것은 신의 덕을 존중하는 행위에서 출발한다고 하였습니다. 또, 종묘대제은 현주,삼생,대갱,변과 두에 담은 음식, 악, 폐백을 잘 갖추어 함께 올려야 예가 성립된다고 하였습니다.

    조선왕조가 종묘 등의 제례에서 폐백을 올리는 것은 고례를 따르고자 한데서 출발합니다.

    국가에서 주관하는 가례에는 혼약의 증거로 신부 집에 사자를 보내어 폐백을 받게 하는 예인 납징이 있었는데 이 의례는 의례 사혼례가 근거로 , 고례를 따르고자 한데서 출발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과거의 혼례에서 폐백은 구고례라고 했습니다. 혼례를 마친 신부가 친정을 떠나 시댁에 간 뒤 행해지는 의례식인데 신부가 미리 친정에서 술, 밤, 대추, 안주, 과일 등을 준비해서 시댁 어른들께 큰벌과 함께 술을 올리면서 인사를 하는 것이었습니다.

    폐백은 신랑의 집안에서 신부가 새 가족이 되었음을 알리는 조상과 친척, 이웃들에게 알리는 전통적인 혼례방법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