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반바지
반바지22.07.21

고혈압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나이
40
성별
남성
기저질환
고혈압

고혈압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약4년점부터 고혈압이 샹겼는데 약은 먹지 안고 있습니다,,

현재 운동으로 약 20kg정도 뺐는데 약을 먹어야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고혈압은 교정이 가능한 원인들도 있지만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혈관자체가 노화되어 딱딱해지며 발생하는 영향도 있으므로 약물을 복용하지 않을 시에 혈압이 조절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혈압약에는 단순 혈압을 강하하는 효과와 더불어 신장보호나 심장을 보호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어 주치의와 먼저 상의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현재 약물을 복용하지 않는다면 집에서 혈압을 아침, 저녁으로 측정하시어 조절이 잘되는지 확인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현재 감량하신 것처럼 일반적으로 체중 감량을 통해 혈압을 낮출 수 있습니다. 또한 식단에서 염분 섭취를 제한함으로서 혈압을 낮출 수 있고 유산소 운동을 통해서도 혈압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이런 생활 습관 개선에도 혈압이 높게 유지된다면 약물 요법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므로 되도록이면 국물이 있는 음식을 드실 경우 국물은 드시지 않는게 좋으며 운동은 조깅과 같이 숨이 찰 정도 강도의 운동을 적어도 3일이상 매일 30분은 시행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카페인은 일반적으로 단기간에 혈압을 상승시킬 수 있지만 정규적으로 카페인을 섭취하면 내성이 생겨 장기적으로는 크게 상승 효과는 가져오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음주는 단기적으로 음주 자체로 인한 혈압 상승의 가능성이 있으나 적당량 이상의 알코올 섭취시에는 장기적으로 혈압 상승을 일으킬 수 있어 지양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노용성 의사입니다.

    그건 혈압 상태에 따라 다릅니다.

    * 아하 답변은 통상적인 답변만 드릴 수 있으며 병원진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궁금한 사항있으면 댓글 남겨주십시오


  • 식습관과 운동등이 큰 영향을 미치므로 혈압관리에 도움이 되는 것은 분명하나

    운동으로 조절되고 체중 조절이 되더라도 고혈압은 있을 수 있으므로

    병원에서 검사 및 진료 후 복용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체중을 많이 줄인 상태에서도 혈압이 높다면 약을 드셔야 합니다. 체중을 줄이고 혈압이 정상으로 유지된다면 지금처럼 운동, 저염식사, 정상체중유지로 관리하시면 되구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고혈압 진단기준은 수축기 140, 이완기 90 이상인 경우입니다.

    고혈압을 진단 받으시면 반드시 약물치료를 시작하시길 권유드립니다. 고혈압은 각종 성인병 및 합병증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먼저 체중감량,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혈압을 낮출 수 있으며 약물치료를 함께 병행하면 효과를 볼수 있습니다.

    그 이후 혈압이 어느정도 정상화되면 조심스럽게 약물 중단을 시작할 수도 있으니 평생 약을 먹어야 한다는 것은 잘못된 상식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


    운동을 하고 체중감량을 하시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중요한것은 현재 혈압조절이 잘 되고 있느냐 입니다.


    ASH-ISH(2013)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혈압조절이 잘 되고 합병증이 없는 1기 고혈압에 대해서는 약물치료를 보류할 수 있습니다.


    다른 합병증이 없는지 적어도 1년마다 혈액, 소변, 심장검사 등을 검사하시고 꾸준히 혈압을 체크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