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망고마더77
망고마더77

우리나라 전통 명절의 종류가 궁금해요.

설날, 추석 외에도 다양한 전통 명절들이 어떤 풍습과 의미를 담고 있는지 궁금해요. 이와 관련된 더 깊은 의미와 역사적 맥락도 함께 알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설날은 음력 1월 1일로 새해를 맞아 조상에 차례를 지내고 가족간의 유대를 강화하는 날입니다. 설이라는 말은 '낯설다'에서 유래되었으며, 새해의 시작을 기념하는 날로 자리 잡았습니다. 일제강점기에는 양력 설(신정)과 음력 설(구정)이 구분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정월대보름은 음력 1월 15일로 한해의 풍년과 건강을 기원합니다. 농경 사회에서 풍년을 기원하며 공동체 의식을 강조하던 명절입니다. 한식은 동지후 105일 째 되는 날로 조상의 묘를 돌보고 성묘를 하는 날입니다. 찬 음식을 먹으며 조상을 기리는 전통이 있습니다. 중국에서 유래된 명절로 고려, 조선에서 중요한 제례일입니다. 단오는 음력 5월 5일로 여름철 농사 준비와 액운을 막는 날입니다. 그리고 유두는 6월 15일로 물가에서 머리를 감으며, 더위를 피하고 액운을 없애는 날입니다. 백중은 7월 15일로 농민드이 수확을 감사하는 날입니다. 추석은 음력 8월 15일로 풍요와 감사의 명절로 신라 유리왕 때 길쌈 대회에서 유래되었으며 농경 사회에서 수확을 기념하는 중요한 명절로 자리 잡았습니다. 동지는 양력 12월 22일경으로 밤이 가장 긴 날로 새해를 준비하는 명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