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도 38도 에너지 평형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2023. 09. 16. 22:38

안녕하세요 고등학생입니다

에너지 균형을 위해 열에너지가 고위도에서 저위도 방향으로 이동하는 걸 배웠습니다

근데 왜 위도 38도에서 열에너지 이동량이 가장 많은 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왜인가요?


총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열에너지 이동은 일반적으로 고온에서 저온으로 이동합니다. 하지만 위도 38도에서는 매우 다양한 기후 조건과 지형적 요소들이 복잡하게 작용하면서, 지구 대기의 열 이동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온도와 기압의 변화에 따라 대류층, 즉 대기의 상부층이 형성되어, 열이 대류층에서 상승하면서 열의 이동이 일어납니다. 이러한 대류층은 지구 상의 다양한 지역에 따라 높이와 온도가 다르게 형성됩니다.

위도 38도는 대류층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이 지역에서 열이 상승하면서 대기순환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이 지역에서는 열의 이동량이 가장 많이 일어납니다.

또한, 위도 38도는 지구 상에서도 다양한 지형적 요소들이 복잡하게 작용하는 지역 중 하나입니다. 이 지역에는 대륙과 바다, 산과 계곡 등 다양한 지형이 있어, 지형적인 요소들이 대기의 열 이동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2023. 09. 17. 19:08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

    경동고등학교

    적도에서 남는 에너지는 고위도로 이동합니다. 위도 5도에서도 에너지가 남는 상태이므로 적도로부터 넘어온 에너지에 남는 에너지를 더해서 고위도로 보냅니다. 에너지가 부족한 상태가 시작하는 곳이 위도 38도입니다. 따라서 위도 38도보다 저위도 지역에서는 그보다 더 저위도에서 오는 에너지에 자기 위도에서 남는 에너지를 더해서 고위도로 보냅니다. 38도가 지나면 넘어온 에너지 중에서 자기 위도에서 부족한 만큼의 에너지를 빼고 고위도로 보냅니다. 따라서 에너지의 이동량이 가장 많은 곳은 에너지 과잉에서 부족으로 넘어가는 곳인 38도가 됩니다.

    2023. 09. 16. 22:45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위도 38도에서 열에너지 이동량이 가장 많은 이유는 태양복사 에너지의 입사량이 가장 많기 때문입니다. 지구는 공전하면서 태양의 방사 에너지를 받습니다. 태양복사 에너지는 지구의 위도에 따라 입사량이 달라지는데, 위도 38도 부근은 태양의 직사광선이 가장 많이 내리쬐는 지역입니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는 태양복사 에너지의 입사량이 가장 많고, 이로 인해 열에너지의 발생량도 가장 많습니다. 또한 대기의 대류 운동이 가장 활발하기 때문입니다. 대기의 대류 운동은 열에너지의 이동을 촉진하는 요인입니다. 대기의 대류 운동은 따뜻한 공기가 상승하고 차가운 공기가 하강하는 운동입니다. 위도 38도 부근은 대기의 대류 운동이 가장 활발한 지역입니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는 열에너지의 이동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집니다.

      2023. 09. 16. 22:46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