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사 시총금액에 대해 궁금한것 있습니다.
오늘의 경우, lg일렉트릭은 실적발표를 하고 급락하여, 시총이 1조가 날라갔다고 하는데, 어짜피 시총은 오르락 내리락 할수 있는건데, 시총자체가 기업에 영향을 주는것이 있나요? 뭐랄까 기업이미지? 주주들 눈치보기?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시총과 같은 경우 시장에서의 기업의 평가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해당 주가가 내려가면 이에 따라서 시총도 내려가기에 이에 따라서 해당 기업에
좋지 못한 일이 벌어지는 것이라고 볼 여지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사실 시가총액이 기업 자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닙니다
시가총액이 10배가 오른다 해도 지금 당장 기업의 매출이 10배를 따라갈 수는 없습니다
미래의 가치를 현재로 당겨오면서 가치를 부여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상장사의 시가총액은
미래에 대한 기대가 담겨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시가총액이 기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진 않지만, 말씀해주신대로 주주들이나 투자자들이 바라보는 이미지에 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시가총액은 기업의 규모와 시장에서의 인지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투자자들이 기업을 평가할 때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높은 시가총액은 투자자들에게 안정성과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지만, 시가총액 자체가 기업의 성과나 가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닙니다. 기업의 성과, 경영 전략, 시장 상황 등이 시가총액에 영향을 미치며, 시가총액이 높다고 해서 항상 좋은 기업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상장사의 시총금액에 대한 내용입니다.
시가총액은 상장 자체의 주요한 조건이기도 해서 잘못하면 상장폐지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정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주가가 하락하면서 시가총액이 감소한것이니까 시총이 하락했다는것은 기업의 가치가 내려갔다고 생각해볼수가 있죠.
시가총액은 어찌보면 기업입장에서 크게 중요하지 않을수도 있기는 합니다만
유상증자를 하거나, 인수합병을 하거나, 타 기업과 협력을 위해 지분교환을 하거나 할때는 직접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그리고 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주주친화정책을 쓰는 경우도 있는데, 이럴때는 주가 수준도 상당히 관리를 합니다.
시가총액은 상장 주식 수와 주가를 곱해 계산한 값으로, 기업의 규모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시가총액은 기업의 규모와 가치를 평가하는 데 활용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기도 합니다.
주가가 상승하면 시가총액도 증가하고, 주가가 하락하면 시가총액도 감소합니다.
기업의 이미지나 주주들의 눈치 보기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지만, 시가총액이 감소하면 기업의 규모가 작아지고 투자자들의 신뢰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의 성장성과 수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시가총액은 주가와 발행 주식수를 곱한 것으로 상장회사 혹은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시가총액이 크다는 것은 실적뿐 아니라 미래의 성장에 대한 기대도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기업 척도와 기업이 가진 실력의 한 면에 지나지 않지만, 시장의 기대치를 반영하는 척도 중 하나이며, 일반적으로 기업의 이익이나 자산이 클수록 시가총액도 높집니진다. 그러나 주가는 과대(과소) 평가될 수 있기 때문에 절대적인 것은 아닙니다. 미결 주식은 공개시장에서 사고팔기 때에, 자본화는 기업의 순자산에 대한 여론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주식 평가의 일부 형태에서 결정적인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시가총액은 기업의 지분가치만을 반영하므로기업의 자본구조 선택은 기업의 총가치를 자본과 부채 사이에 어떻게 배분하는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시가총액(시총)은 기업의 이미지와 주주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있습니다.
시총이 급락하면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기업 이미지: 시총이 급락하면 기업의 시장에서의 신뢰도와 이미지가 나빠질 수 있습니다. 이는 고객, 파트너, 공급업체 등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주주 신뢰: 주주들은 시총의 변동에 민감할 수 있습니다. 시총이 급락하면 주주들이 불안해하고, 이에 따라 기업의 주식이 더 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추가적인 자본 조달에 어려움을 겪게 할 수 있습니다.
자금 조달: 시총이 낮으면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주식의 가격이 낮아지면, 기업이 원하는 자금을 모으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인수합병 및 파트너십: 기업의 시총이 낮으면 인수합병 제안이나 파트너십 협상에서 불리한 위치에 놓일 수 있습니다. 기업 가치를 낮게 평가받게 되면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기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