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오늘배움
오늘배움

'슈뢰딩거의 고양이'에 대해 알려주세요.

양자를 가장 잘 설명하고 있는 것이 '슈뢰딩거의 고양이'라고 하는데요.

양자를 '슈뢰딩거의 고양이'로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 알려주십시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슈뢰딩거의 고양이는 양자역학의 특징 중 하나인 양자 중첩 개념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유명한 사고 실험입니다. 이 실험은 밀폐된 상자 안에 고양이와 방사성 물질 독극물이 들어있는 시나리오를 통해 진행됩니다.

    양자역학에서 미세한 입자는 동시에 여러 상태에 존재할 수 있는 양자 중첩 상태를 가질 수 있습니다. 슈뢰딩거의 고양이 실험에서 고양이는 방사성 물질의 붕괴 여부에 따라 살아있는 상태와 죽은 상태가 동시에 존재하는 중첩 상태에 있습니다. 즉 상자를 열어 확인하기 전까지 고양이는 확률적으로 살아있거나 죽어있을 수 있는 가능성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이 사고 실험은 우리가 일상에서 경험하는 대상과는 다른 양자 세계의 특이한 속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측정을 하기 전까지 양자 시스템은 여러 가능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며 측정 과정을 통해 하나의 확실한 상태로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슈뢰딩거의 고양이는 단순한 상상 속 이야기가 아니라 양자역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고 실험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슈뢰딩거의 고양이는 양자역학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사고 실험입니다. 이 실험에서는 고양이가 담긴 상자 안에 방사성 원소와 독가스 병이 있는 상황을 가정합니다. 방사성 원소가 붕괴되면 독가스 병이 깨져 고양이가 죽게 되지만, 붕괴될 확률도 반반입니다. 양자역학에서는 이를 고양이가 살아있으면서 동시에 죽어있는 중첩 상태로 설명합니다. 상자를 열어보지 않는 이상 고양이의 상태는 결정되지 않고, 관찰이라는 행위가 실제 상태를 결정한다고 봅니다. 이 실험은 양자 역학의 너무나 다른 개념을 직관적으로 설명하고자 고안되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슈뢰딩거의 고양이'는 양자 역학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사고 실험으로, 양자의 중첩 상태를 직관적으로 이해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상자 안에 고양이와 방사성 물질, 그리고 독가스가 들어 있습니다. 방사성 물질이 붕괴되어 독가스가 방출되면 고양이는 죽게 되지만, 붕괴되지 않으면 살아 있습니다. 문제는 상자를 열어보기 전까지 고양이가 살아있기도 하고 죽어있기도 하다는 것입니다. 이처럼 양자는 여러 상태에 동시에 있을 수 있다는 '중첩' 개념을 설명합니다. 상자를 열어 관찰하기 전까지는 그 상태를 확률적으로밖에 알 수 없다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양자 역학이 이렇게 직관과 다르게 작용하는 영역이므로 신비롭기도 하고 복잡하게 다가오는 측면이 있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슈뢰딩거의 고양이는 양자역학의 코펜하겐 해석을 비판하기 위하여 슈뢰딩거가 1935년 고안한 사고실험을 의미합니다.

    다시말해 중첩으로 설명할 수 있는 양자 대상이 측정장치를 함께 고려하면 결국 측정장치도 중첩을 일으켜야 한다는 이론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