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중세 시대에서는 우리 민족의 관료들이 명절에 몇일씩 쉬었나요?
꼭 조선에 국한되지 않더라도 고려나 조선시대에는 관료들이 추석이나 설날 등 명절에 몇 일식 휴가를 보냈는지 궁금합니다. 그 시대에는 현대의 근로자처럼 휴식기간이 제대로 보장되지는 않았을 것 같기도 하고 또 유교문화권 또는 조상을 기리는 시대에서는 오히려 그런 부분은 강하게 챙겼을 수 있을 것 같아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고려와 조선시대 관료들은 명절에 휴가를 보장받을 수 있었습니다. 고려시대에는 설날에 7일, 한식에 3일, 추석에도 3일 정도를 쉬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조선시대에도 설날, 추석, 단도 등 주요 명절에 휴가를 받았습니다. 그리고 매월 10일마다 한번 쉬는 순휴일제도가 있었습니다. 관료들은 연간 휴무일은 약 35~ 38일로 추정됩니다. 그리고 부모의 병환 시에는 거리에 따라 30~70일의 휴가가 주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