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밤하늘의오로라
밤하늘의오로라

산 염기 중화반응의 평형 상수값이 매우 큰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산과 염기가 만나서 중화되는 반응의 경우에는 평형 상수값이 1보다 크며 굉장히 큰 값을 갖는다라고 알려져 있는데 약산과 약 염기에 중화 반응 이외의 모든 반응에서 평형 상수의 값이 이처럼 큰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평형상수는 K 약자를 쓰고 중화반응의 평형상수는 Kep 를 사용합니다. 이러한 평형상수가 큰 이유는 물을 만들어내는 중화반응 자체가 수소이온과 수산화이온이라는 반응성 높은 물질간의 반응이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생성물이 물이 아주 안정된 물질이기 때문에 반응상수값이 크게 됩니다.

    반응성이 높은 상태에서 안정된 물질로 반응이 진행되기 때문에 실제로 반응상수값을 계산해보면 K 값은 약산과 약염기에서도 10^4 이상의 값이 나오게 될정도로 평형상수값이 크게 계산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 중화반응의 경우 수용액에서 산과 염기가 만나면 수소이온(H⁺)과 수산화이온(OH⁻)이 물을 생성하며, 이는 평형적으로 매우 안정합니다. 예를 들어 강산과 강염기의 중화반응에서 평형 상수는 사실상 물 생성 반응의 자유 에너지 변화(ΔG)가 매우 큰 음수이므로, K>>1이 됩니다.

    이처럼 평형상수가 매우 큰 이유는 생성물의 안정성 때문인데요, 산–염기 반응의 주요 생성물인 물(H₂O)은 매우 안정한 분자이며 강산과 강염기의 경우 거의 모든 H⁺와 OH⁻가 물로 결합하기 때문에 반응이 거의 완전히 진행됩니다.

    반면에 약산이나 약염기도 중화반응에서는 반응 후 짝염기, 짝산이 형성되는데요 물이 매우 안정하므로, 산–염기 사이의 H⁺ 이동은 거의 완전히 진행됩니다. 따라서 강산–강염기, 약산–강염기, 강산–약염기 반응 모두 평형이 거의 생성물 쪽으로 치우치면서 K가 큰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