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떡뚜꺼삐
떡뚜꺼삐

지구는 반경이 약6,400km이지만요

지구는 적도부근이 약간 부풀어 오른 타원체 이면서 적도반경은 6,378km이고, 극 반지름은 약 6,357km로서 적도부근이 극 보다 약 21km 길다고 하네요.

그런데 흔히 보는 지구본은 완전 동그란 모양으로서 초등때 부터 한번도 지구가 타원체라고 배운적이 없거든요.

지구본을 보면 누구나 지구는 동그란 둥근모양으로 착각하고 있었다는 생각이 드는데 지구본을 실제 모형대로 타원체로 만들어야 한다고 교육부에 건의해야 하지 않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두루미123
      두루미123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저는 사실 배울때 타원형이라고 배웠습니다. 적도부근이 더 통통한 것으로.

      그것이 자전운동과 관련되었다는 설도 들었고요.

      지구본을 타원체로 만들어야 할것 같긴 합니다.

      조금이라도 사람들이 느낄수 있도록.

    • 지구는 실제로 타원체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적도부근이 약간 부풀어 오른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흔히 볼 수 있는 지구본은 대부분 완전 동그란 모양으로 표현되어 있어서 이에 대한 오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교육부에 타원체 모형으로 만든 지구본을 사용하도록 건의하는 것은 좋은 아이디어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실제 지구는 타원체 모양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구본을 타원체 모양으로 만드는 것이 더 정확한 지구 모형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에 대한 결정은 교육부에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지구본을 생산하는 기업들과 지구본을 사용하는 교육 현장 등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과의 협의와 검토가 필요합니다.

      또한, 지구본의 목적과 사용 용도에 따라 타원체 모양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리 정보 시스템(GIS) 분야에서는 일반적으로 지구를 구 형태로 모델링하여 사용합니다.

      따라서, 지구본을 타원체 모양으로 만들어야 하는 여부는 사용 목적과 상황에 따라 다르며, 이에 대한 결정은 해당 분야 전문가들과의 협의와 검토가 필요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모양이 타원체임은 맞지만, 그 차이는 지구의 크기에 비해서 매우 작기 때문에 일반적인 지구본에서는 눈에 띄지 않습니다. 지구의 타원체 모양은 지구의 중력이 불균등하게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하게 됩니다.

      실제로 교육부에서는 지구의 모양에 대해 학생들에게 제대로 알리기 위해 지구모형에서 약간의 타원체 모양을 반영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지구를 완전한 구체로 나타내는 것은 단순화된 형태로 인식하고 기억하기 쉬우므로, 교육적인 목적에서는 적절한 접근 방식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구의 모양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싶은 학생들은 추가적인 교육 자료나 실험 등을 통해 타원체 모양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모양은 완전한 구가 아니고 적도반지름이 극반지름보다 약간 긴 타원체입니다.이는 지구의 자전에 의해 적도부근이 부풀어 오른 결과입니다.그러나 이 차이는 매우 작아서 눈으로 구별하기 어렵습니다. 적도반경은 6,378km이고, 극 반지름은 약 6,357km로서 적도부근이 극 보다 약 21km 길다고 하네요.

      지구본은 지구의 모양과 비슷한 회전타원체를 가리키는 말로서, 지구의 표면을 축소하여 표현한 것입니다. 지구본을 만들 때는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여 정확하게 비례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그러나 완벽하게 비례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투영법을 사용하여 지구본을 만듭니다. 투영법에 따라 지구본의 모양과 크기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구본을 실제 모형대로 타원체로 만들어야 한다고 건의하는 것은 잘못된 생각입니다. 왜냐하면 이미 타원체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타원체와 구의 차이가 너무 작아서 눈으로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투영법에 따라 다른 형태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정답이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지구본을 보면서 실제 지구와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실제로 최근에는 적도부근의 나라들의 땅이 작게표현되는데 있어서 보정된 지도가 보급되기도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실제 지구는 약간의 타원형입니다. 지구가 자전을 하니까 당연한 이치입니다. 대부분의 행성은 타원형으로 되어 있지만 육안상 구분은 불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