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제를 같이 먹으면 속이 울렁거리는 약을 먹어도 덜 울렁
거리는 이유가 뭔가요? 소화제라는 건 위속에 있는 음식물이 잘 흡수되도록 도와주는 거 아닌가요? 그러면 약물을 먹었을 때 역겹다는 것은 위에서 흡수되지 않고 그대로 약물이 남아있기 때문인가요? 그걸 잘 흡수되게 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소화제의 경우 위장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에 약으로 인한 위장장애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소화제로 효과가 부족하거나 음식물에 의한 위장장애가 아닌
다른 원인으로 인한 증상일 수 있습니다.
또한 소화제는 약물 흡수를 돕는 것이 아닌 음식 성분인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소화를 돕기에 약물에 의한 위장장애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사람에 따라서 약에 대한 반응이 다를 수 있습니다. 약이 몸에 맞지 않는 경우, 복통, 설사 및 메스꺼움 등의 증상이 잘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소화제나 속이 메스꺼울때 먹는 약을 먹어도 울렁거린다는건가요?
본인에게 맞지 않는 약이므로 다른 약으로 복용해야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나재경 약사입니다.
위장장애를 유발하는 약과 위장약을 같이 복용하는 이유에 대해 물으시는 것으로 이해하고 답변하겠습니다. 해당약은 음식물의 소화를 도와주는 소화제가 아니라 위점막을 보호해주는 위보호제(위장약)의 개념입니다. 항생제, 소염진통제와 같은 약물들이 부작용으로 위보호물질의 분비를 억제시키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위장을 보호해주면 더부룩하거나 구역감이 생기는 것을 막아줍니다.
안녕하세요. 김강희 약사입니다.
약을 복용하고 속쓰림, 울렁거림 등의 위장장애가 발생하는 이유는 약물이 위산분비를 촉진하거나 위를 직접적으로 자극하기 때문입니다.
소화제에는 소화를 도와주는 소화효소 이외에도 위산분비억제제, 위장운동을 조절하여 위를 보호하는 위점액 분비를 촉진하는 위장운동조절제 등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약물이 위를 자극하여 발생하는 울렁거림, 속쓰림, 메스꺼움 등의 위장장애를 방지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동욱 약사입니다.
소화제라고 표현을 하셨지만 보통 위장보호제를 같이 넣어줍니다. 이들은 소화작용이 아니라 위점막 보호 작용 등을 울렁거림, 속쓰림 등을 방지해주는 것이라 소화제는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소화제, 위장약을 먹어도 속이 안좋다면 수액을 맞으시는게 좋아요.
속이 너무 안좋아서 약을 먹어도 증상들이 지속하시는가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