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과 irp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연금저축이랑 irp에 대해 궁금합니다
각각 다른점이 무엇인가요?
연금저축과 irp의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일반적인 직장인에게 더 유리한건 어떤 상품인가요?
우선 연금저축과 IRP의 성격은 비슷합니다.
하지만 연금저축은 누구가 가입이 가능한 상품인 반면에 IRP는 소득이 있는 사람만 가입이 가능합니다.
즉, 소득이 있고 없고의 차이가 가입의 기준입니다.
다음으로는 연금저축은 만55세 이전에 비교적 인출이 가능하지만, 그에 반해 IRP는 법적 기준을 제외하고는 불가합니다.
그리고 연금저축은 세액공제 1년에 600만원이지만, IRP는 900만원까지입니다.
결론은 가입을 하신다면 기본적으로 연금저축을 메인으로 하시고 부가적으로 IRP를 가입하시는 것이 좀 더 유리할 수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펀드와 Irp는
중도인출, 위험자산 편입비중,
세액공제 한도 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먼저 중도인출
연금저축은 중도인출
즉 부분해지가 가능하지만
IRP는 불가능 합니다.
IRP의 경우 도중에 자금이 필요하면
계좌적립액 전체를 해지해서 받아야 합니다.
두 번째, 위험자산편입비중
연금저축은 위험자산 편입을 100%까지 할 수 있지만
IRP는 70%로 제한됩니다.
만약 주식형ETF에 70%를 넣었는데
조금이라도 수익이 나면 70% 비중을 초과하므로 바로 리밸런싱(자산재배분)을 해야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 세액공제 한도 입니다.
연금저축은 600만원까지
IRP는 900만원까지
(연금저축에 300만원을 넣었다면
IRP는 600만원 까지..) 입니다.
전반적인 것을 고려한다면
연금저축과 IRP를 비교하여
어떤것을 가입하고 불입할거냐를
고민하고 있다면
월 50만원 이하 적립일 경우
연금저축펀드로 하시고
초과적립이 가능하다면
초과분만 IRP로 불입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