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는 어떤 과학적 원리로 강수량을 측정하나요?
비오는 날이다 보니 문득 궁금해 지는데 현대에는
강수량을 젤때 어던 과학적 원리를 통해 지역마다 강수량을 측정하고 가르쳐 주는 건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강수량 측정 방법은 몇 가지가 있지만,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잘 알려진측정 도구는 원통형 우량계입니다.
이 우량계는 시간당 내리는 물의 깊이를 측정하는데 상부 직경이 약 20cm인 원통형으로 되어있으며, 통 내부에 고인 빗물의 깊이를 mm 단위로 잽니다. 사실 이 것이 강수량의 기원이기도 합니다.
그 이외 방법으로는 기상레이더를 이용하여 강우량을 측정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노점 측정: 이 방법은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수분이 포화 상태가 되는 지점인 노점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노점 측정기는 냉각된 표면에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되는 온도를 측정하여 노점을 계산합니다. 이를 통해 공기의 수분 함량을 파악하고 강수량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2. 강우계 측정: 이 방법은 직접 강우(비 또는 눈)의 양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강우계는 특정한 표면적을 가진 용기에 강우가 모이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그런 다음, 강우계에 쌓인 물의 양을 측정하여 강수량을 계산합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직접적으로 강우량을 측정할 수 있어 실제 강수량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지역마다 강수량을 측정하고 가르쳐 주는 것은 기상청에서 담당합니다. 기상청은 전국에 1,400여 개의 자동기상관측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자동기상관측소에서는 우량계를 이용하여 강수량을 측정합니다. 또한, 기상청은 위성 관측과 강우레이더를 통해 강수량을 측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