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탄소배출관련하여 스코프1,2,3가 정확히 어떻게 다르고 의미가 무었인가요?
기업의 탄소배출규제 관련하여서 스코프 1,2,3에 대한 의무화가 정부차원에서 많이 제기 되는데요
그렇다면 이 스코프1,2,3,가 정확히 어떻게 다르며 의미가 각각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비오는 날입니다.
스코프 1, 2 및 3는 기업의 탄소배출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각각의 스코프는 다음과 같은 차이점과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스코프 1: 직접적인 탄소배출량을 나타냅니다. 이는 기업이 직접 소유하거나 직접적으로 관리하는 자산 및 활동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공장에서의 에너지 사용 및 내연기관을 갖춘 자동차 등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스코프 2: 간접적인 에너지 관련 탄소배출량을 나타냅니다. 이는 기업이 소비한 전기, 열 및 증기와 같은 에너지의 생산 및 전송 과정에서 발생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포함합니다. 주로 외부의 공급업체로부터 구매한 전력 등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스코프 3: 기타 간접적인 탄소배출을 나타냅니다. 이는 기업의 활동과 관련하여 발생하지만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온실가스 배출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 및 운송, 직원의 출퇴근 및 업무여행, 생산 과정에서의 자원 소비 및 폐기물 처리 등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스코프 1은 직접적이고, 스코프 2는 간접적인 에너지 관련 배출에 초점을 맞추고, 스코프 3는 더 넓은 범위의 간접적인 배출을 다룹니다. 기업이 이러한 모든 스코프를 평가하고 줄이는 것이 지속가능한 경영 및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데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