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무엇이든지궁금해하는물음표???
무엇이든지궁금해하는물음표???

피부로 호흡하는 생물처럼 사람도 피부로 호흡할수는 없는건가요?

물론 우리가 입으로 코로 숨을 쉬는것은 알고 있기 때문에

뭐라 하지는 않겠지만

우리 사람들도 피부로 숨을 쉴수 있게끔 하게 진화 하면 피부로도 숨을 쉴수 있지 않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사람은 피부로 호흡할 수 없습니다. 피부로 산소를 흡수하는 일부 생물, 예를 들어 개구리나 지렁이 등은 얇고 습한 피부를 통해 산소가 확산될 수 있지만, 사람의 피부는 산소 교환이 일어날 만큼 얇지 않고, 피부 각질층이 산소의 자유로운 이동을 막습니다. 또한 인체는 산소가 필요한 기관과 세포가 많아 피부만으로는 충분한 산소 공급이 불가능합니다. 인류가 피부 호흡을 할 수 있도록 진화하려면 피부 구조와 산소 운반 체계가 완전히 변해야 하지만, 이는 현재 인체의 구조와 기능상 비현실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오현수 전문가입니다.

    피부호흡으로 가는 것이 진화방향성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피부호흡이 가능하려면, 우선 피부가장 겉에 있는 각질층 자체가 사라져야 하고, 호흡이 가능할수 있도록 피부 전체가 양서류처럼 끈적거리는 액체로 덥혀 있어야 겠지요.

  • 안녕하세요.

    인간도 피부호흡을 할 수 있기는 합니다. 사람은 기본적으로 폐호흡을 하지만 피부로 호흡하기도 하는데요, 이때 피부호흡이란 피부를 통해 외계의 산소를 직접 체내에 넣는 것으로 정도에 차이는 있지만 동물에게는 공통적입니다. 사람의 경우도 땀구멍을 통해 흡입한 산소가 직접 모세혈관에 있는 혈액과 상호작용을 하는데 이는 전체 호흡의 약 0.6%정도에 해당합니다. 참고로 호흡기관이 없는 하등동물은 100% 피부호흡에 의존하는 데 비해, 아가미나 폐를 가진 동물에서는 그 역할이 적은데 개구리의 경우 전체 호흡량의 30~50%(동면 중에는 75%), 뱀장어는 30%, 비둘기는 1% 정도 피부호흡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사람이 피부로 호흡하는것은 현재 구조로는 불가능합니다.
    양서류나 수생식물들은 피부가
    기체교환을 할수있는 특별한 구조를 가지고있고,
    피부에 풍부한 혈관망이 존재하여 가능합니다.

    하지만 인간은 진피층과 표피층이 나뉘어져있고
    표피층이 외부를 거의 완벽하게 차단하고있기때문에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