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뽀얀극락조120
뽀얀극락조120

현재 30대 후반인데 건강 문제로 곧 퇴직해서 무직자가 되는데 생활비 인출을 연금저축 계좌에서 이렇게 하면 될까요?

성별
남성
나이대
37
직업
회사원
근로형태
근로소득자(4대보험)
결혼여부
미혼
월 수입 현황
300
월 부채 비용
14
월 고정 지출 비용
100
월 가용자금
100

현재

  1. ISA 계좌(22년 1월 개설): 6천만원

  2. 일반위탁계좌: 1억 9천만원

3. 연금저축계좌: 3천만원(전부 세액공제 적용)

총: 2억 8천만원 있는 상황입니다.

타계좌에서 인출하면 세금이 부과되는듯한데 연금저축계좌(세액공제 미적용)에서 돈을 인출하는건 비과세라 하니 연금저축계좌(세액공제 미적용)에서 생활비를 인출하려하는데요..

그러면 무직자가 되면 근로소득은 없고 금융소득도 얼마 되지 않을듯해 연금저축계좌를 통한 600만원 세액공제 적용되진 않을거라 보긴하나, ISA 계좌에 있는 돈을 3년 주기로 몽땅 연금저축 1계좌로 한번에 600만원(세액공제 적용), 연금저축 2계좌로 5,400만원(세액공제 미적용) 으로 보낸 후, 전부 기존 연금저축계좌로 하던대로 S&P500 등으로 투자후, 생활비 필요할때마다 세액공제 미적용된 5,400만원 있는 연금저축 2계좌에서 발생한 수익금 및 원금을 비과세로 인출해서 생활비로 쓰기 <-- 이게 가장 유리한 판단이 맞을까요?

저 판단이 유리한게 맞다면 1년마다 일반위탁계좌 -> ISA계좌 -> 3년마다 연금저축계좌 이렇게 옮겨서 현재 ISA 6천만원+일반위탁계좌 1억 9천만원을 전부 연금저축 1계좌+ 연금저축 2계좌로 옮기려 합니다.

그리고 세액공제 적용된 연금저축 1계좌는 만55세부터 인출하는게 좋으니 그때까지 버틸 생활비는 이 계좌로 인출 하지 않으려합니다.

최종적으로 원금 2억 8천만원을

연금저축 1계좌(세액공제 적용, 만55세부터 수령): 6천만원 정도 -> 전부 S&P 500등으로 투자 후 냅두기.

연금저축 2계좌(세액공제 미적용, 생활비 인출): 2억 2천만원 정도 -> 전부 S&P 500등으로 투자 후 생활비 필요시 매도 후 인출.

이렇게 하려합니다... 계획에 문제가 없는지 고견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권혁철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계획은 세제 혜택을 활용하면서 투자와 생활비 인출을 균형 있게 관리하려는 점에서 잘 설계되었습니다. 다만 몇 가지 보완할 사항이 있어 이를 중심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연금저축계좌에서 세액공제 미적용 금액은 만 55세 이전에도 원금과 수익을 비과세로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생활비를 충당하는 데 활용하기 적합합니다. 다만, 전액을 S&P 500 같은 고위험 자산에 투자하면 시장 변동성이 클 경우 원금 손실로 인해 인출 계획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부는 채권형 ETF나 현금성 자산으로 분산 투자해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ISA 계좌는 수익 비과세 혜택이 5년 유지 조건을 충족할 경우 적용되므로, 전액을 연금저축계좌로 이전하기보다는 일정 금액을 남겨두고 유동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고려해볼 만합니다. 특히 ISA 계좌를 유지하면서 발생하는 비과세 수익은 추가 생활비로 사용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무직 상태에서는 연금저축계좌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세액공제 한도(연 600만 원)는 추후 소득이 발생하는 시점에 활용하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세액공제 미적용 금액을 연금저축 2계좌로 구성하여 필요할 때 비과세로 인출하는 계획은 적합해 보입니다.

    55세 이후에 사용할 세액공제 적용 연금저축 1계좌는 그대로 S&P 500과 같은 성장형 자산에 투자해 장기 복리 효과를 누리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다만, 55세 이후의 물가상승률과 생활비 증가를 고려한 장기적인 시뮬레이션을 통해 필요한 금액과 투자 전략을 재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적으로, ISA 계좌를 완전히 이전하지 않고 일부 유지하며 연금저축 2계좌에 분산 투자하고,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자산 포트폴리오를 안정적인 자산과 성장형 자산으로 나누는 것이 더 안전하고 유리한 전략으로 보입니다.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