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보험

의료 보험

수줍은바다표범265
수줍은바다표범265

건강보험에 가입하지 않고 보험회사에 병원비 실손청구시 적용되는 기준금액이 궁금합니다

의료수급자입니다.

그래서 건강보험에 가입하지 않았습니다.

병원를 가게 되면 급여,비급여 모두 공단 부담금없이 100%본인부담금으로 영수증에 찍히게됩니다.

이럴경우 병원 진료후 보험회사에 병원비 실손 청구를 하게 되면 100%본인 부담금에 대한 보험회사 자기부담금 빼고 나머지는 다 주는건가요?

지급기준을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국민건강보험이 적용되지않은 일반으로 되어서 병원비 본인부담금의 40% 를 보상합니다 세대별실비에 따라서 다를 수는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재진 보험전문가입니다.

    건강보험은 공단에서 정한 급여의료비에 대하여

    평균 60%정도를 지원해주는 보험입니다.

    실손보험에서 (4세대 기준으로) 급여를 80% 돌려주는건

    건강보험 가입자를 기준으로 합니다.

    그런데 건강보험이 없어 급여 의료비도 전액 본인부담을 하는 경우는

    실손보험에서 급여의료비의 40%,

    그 40%안에서 80%를 보장합니다.

    비급여는 원래 다 자기부담금이라 건강보험 여부는 상관없습니다.

    이해가 원할하게 예시를 설명드리면

    -건강보험 가입자-

    급여의료비 100만원

    공단지원금 60만원 / 자기부담금 40만원

    ∴ 40만원에 대한 80%인 32만원 환급 / 실부담금 8만원

    -건강보험 미가입자-

    급여의료비 100만원

    자기부담금 100만원

    자기부담금의 40% 40만원

    ∴ 40만원에 대한 80%인 32만원 환급 / 실부담금 68만원

    이렇게 계산되는거에요.

  •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실손의료비 약관상 건강보험 미가입으로 인한 건보 미처리 영수증은 공제금액 제외후 40%를 지급처리합니다.

  • 안녕하세요. 장재영 보험전문가입니다.

    수급자의 경우 실비 가입이 실효성이 크게 없긴합니다.

    실손의 경우 실제 발생한 비용을 가지고 보상합니다.

    비급여 경우만 보상이 되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