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유동성을 푸는 정책을 사용 중인데 홀로 긴축해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요?
미국도 경기가 둔화되어 내리고 있고, 중국도 이 때가 기회다 싶어 지속 힘들어하다가 강하게 부양책을 쓰면서 경기를 살려 보려고 노력 중입니다.
그런데 미래 세대를 위해 긴축을 해야 한다며, 내수가 지속 나빠지고 있는데 기준금리를 내리지 않고 부동산 가격 억제를 위해 차별적 정책은 쓰지 않고 대출 규제를 일괄적으로 하여 거래를 못하게 하는 상황입니다. 신용대출, 주택담보대출, 전세대출 금리까지 다 올리다보니 시중에 돈이 돌지 않고 금융투자과세까지 더해 주식시장은 신용잔고도 지속 감소하고 투자자가 없는 시장이 되어 버렸습니다.
주식 시장은 국민연금도 투자를 하지 않는다고 하고, 외국인들도 다 팔고 나가면서 저가 매수에 희망을 걸고 있는 개인들이 받아주지만 가격은 지속 하락 중입니다. 시장에 유동성 유입이 없는 상황에서 자산 가격이 버틸 수 있을지 그리고 경제도 버틸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이렇게 반대로 정책을 시행하는 것이 무슨 베짱인지 모르겠습니다. 이런식으로 계속하면 우리나라 경제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의 경제 상황과 정책 방향에 대한 우려는 많은 이들이 공감하는 부분입니다. 긴축 정책과 대출 규제는 단기적으로는 물가 안정과 금융 시스템의 건전성을 목표로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내수와 투자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부동산 가격 상승이 실물 경제에
더 큰 영향을줄 수 있기에 아직 인하를 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나
미국에서도 기준금리를 인하한만큼 우리나라도 원달러 환율 차이 등으로 인하여
대폭은 어려워도 소폭 인하하지 않을까 싶으나 미래는 알 수 없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도 연말 또는 내년 초에는 금리 인하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미국 보다 2% 정도 낮습니다.
똑같이 금리를 바로 내려버리면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이 클 수도 있습니다.
코로나 이후 자산 가격이 폭등하여 빈익빈 부익부가 강화된 것도 사실입니다.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경기를 활성화 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대로 간다면 우리나라 시장은 확실히 위험합니다
먼저 외국인이 신뢰할 수 없는 시장이고 개인들도 정부 정책에 변화에 따라 바뀌는
시장의 불확실성에 투자하고 싶지 않아 합니다
추가적으로 미국이라는 선진시장을 두고 굳이 우리나라에 투자하지 않을 것입니다
모든 재원을 우리나라 시장 살리는 쏟아도 모자른 상황이지만 실제로 우리나라 국회의원들은
주식시장이 어찌 되었던 숏을 치며 돈을 벌면 되지 않느냐는 매국식 발언을 하고 있습니다
안타깝지만 기울고 있는 우리나라 시장을 붙잡고 있는 것 보다는 미국시장이나 부동산으로
눈을 돌리는 것이 소중한 자산을 조금이라도 더 불릴 수 있는 방법임은 명확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해주신대로 전세계적으로 기준금리를 인하해 통화량을 늘리는 유동정책을 시행중이라서 우리나라 역시도 10월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는 기준금리 인하를 발표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단, 부동산시장 과열에 따른 주택관련 대출 상품은 어떤 적용을 받을지 예측이 안 되고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시장과 역행하는 부분에 대한 걱정이 있습니다. 하지만 정치를 하는 사람들도 생각이 있으니 그러한 정치를 하는 것이라고 최대한 긍정적으로 생각합니다. 타국의 자본을 유입받아 시장을 돌리려고 하는 것인지 의문이지만,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 또한 반영이 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