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8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홍덕진 의사입니다.
고지혈증은 생활 및 식습관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고치지 않으면 약물 치료의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고지혈증의 관리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식이요법
고지혈증 치료에 항상 기본이 되며 우선적으로 시도되어야 하는 치료입니다.
기본적으로 콜레스테롤 (하루 300ml/dL미만)및 포화지방산의 섭취를 줄이고, 비만한 환자의 경우 과잉의 총 열량을 감소시키고 운동량을 증가시킴으로 체중감량(한 달에 1~2kg씩 점진적으로 감량)을 해야 합니다.
2) 운동요법
운동은 많은 에너지를 소모해주고,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자신이 좋아하는 신체 활동을 찾아서 이를 자주 실시하도록 합니다.
수영, 춤추기, 자전거타기와 같은 운동이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운동을 같이 할 수 잇는 동료를 찾아 운동을 같이 할 경우, 더욱 즐기면서 운동할 수 있게 되므로 운동 계획을 지키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3) 약물요법
콜레스테롤을 포함한 지방질을 낮추는 약은 크게 4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스타틴 계열, 담즙산 결합레진, 니코틴산 계열, 피브린산 계열입니다.
이들 가운데 스타틴 이라는 이름이 붙는 약들은 현재 가장 널리 쓰이는 지질 강하제 입니다.
콜레스테롤의 합성 자체를 직접 억제하여 효과를 나타냅니다. 약물치료를 통해 실제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면 일차적으로 심혈관 질환의 발생확률이 낮추어집니다.
이는 기존에 심혈관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뿐만 아니라 병이 없는 사람에서도 예방효과 및 사망률 감소가 증명되어 있습니다.
출처 -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갱년기랑 고지혈증은 크게 상관 관계가 없습니다.
노화로 인해 호르몬 분비에 문제가 발생해서 생기는 증상들입니다. 신체적 변화(화끈거림, 식은땀, 두근거림, 수면장애)와 심리적 변화(불안, 우울, 예민, 건망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균형잡힌 식사, 규칙적인 수면, 노화의 자연스러운 과정이므로 받아들이세요. 주변과 대화를 충분히 하시고 증상이 지속되면 전문의 진료를 받기 바랍니다. 호르몬치료는 득과 실이 있으므로 상담이 필요합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