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6.07

옆구리가 콕콕 쭈시는거 같이 아파요

나이
30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아침에 일어날때나 점심에 밥 먹으려고 스트레칭 꼭 하는 편입니다. 하지만 중간 중간 옆구리가 이쑤시개로 쭈시는 것 같이 아픈데 어디가 아파서일까요? 옆구리와 그 날갯죽지까지 그 부분이 아픈것 같습니다. 과체중 저체중 둘다 아니구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헌신하는달팽이141
    헌신하는달팽이14122.06.09

    안녕하세요.

    따로 운동이나 헬스를 하고 있는지도 중요한 것으로 보이며 옆구리 통증의 대부분은

    섬유근통의 경우가 많으며 통증을 느끼는 부분이 있지만 특별한 질병이 없을 수 있으며

    과도하게 근육 운동을 하거나 혹은 오히려 장기간 책상에 앉아서 일을 하는 경우에도

    근육이 긴장 상태를 유지하고 수축되어 있어 이후 스트레칭 시에 이완이 빠르게 되지

    않아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드물게 신우신염이나 신장 결석이 있을 때에도 옆구리

    통증이 있지만 이때는 지속적으로 아플 가능성이 높으며 대상포진때에도 발생할 수

    있지만 마찬가지로 통증이 지속되고 수포가 잡히는 특징을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현재 해당증상만으로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는 어렵습니다. 옆구리 통증은 신장 질환이나 문제로 발생할 수도 있지만 염좌나 좌상으로 인해서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내원하시어 직접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옆구리가 쑤시듯이 아픈 이유는 여러가지를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늑간신경통과 같은 근골격계 질환부터 신장질환 등을 고려해보아야 합니다.

    우선은 가장 흔한 질환들을 감별하기 위해 정형외과에서 X-ray 등을 촬영해 보실것을 권장합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옆구리 통증을 포함한 복통의 원인은 굉장히 다양합니다. 통증의 양상과 통증이 생기는 부위에 따라서 이상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 장기들이 매우 많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글로 표현하는 것보다 내과에 가셔서 신체진찰과 함께 필요한 검사를 해보는게 중요합니다.



  •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시는 옆구리가 아픈 증상은 비특이적이기 때문에 특정한 원인이나 질병을 의심하기에 무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있는 만큼 관련하여 정밀 검사를 받고 정확한 상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흉부외과 진료를 보시고 필요한 검사 및 결과에 따른 치료를 받으시길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식후에 옆구리가 땡기는건 음식물이 들어가면서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만약 식사랑 상관없다면 다른 원인을 찾아봐야 겠네요.

    질문 내용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을 내릴수가 없습니다. 진단에는 신체진찰, 각종 검사들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

    옆구리 부분에 나타나는 증상은 일반적으로는 근육통입니다. 자세가 불편하실 수도 있고 해당 부위에 일시적으로 무리가 간 후 발생하는 증상일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갈비뼈의 연골 염증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진통소염제를 복용해 보시고 그럼에도 증상이 지속된다면 흉부외과에 내원해 상담해 볼 것을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스트레칭시 옆구리에 불편감은 근육통일 가능성이 높겠습니다. 좌우에 차이는 있으신가요?

    통증이 지속된다면 정형외과 진료를 받아보시는게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서원 의사입니다.

    상기증상으로 정확한 감별은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옆구리 통증이 있으면 신장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으나, 상기 증상으로 신장쪽 문제는 아닐 것으로 보입니다. 일시적인 통증일 가능성이 있으며 증상이 심해지거나 오래 지속되면 정확한 감별진단을 위해 가까운 의원에서 추가적인 검사 받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