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피부과

고상한다람쥐106
고상한다람쥐106

항생주사 및 알러지, 항생제 복용시 백신2차 맞아도 괜찮을까요?

얼굴에 갑작스런 붓기가 생겨 피부과에 갔더니, 세균성감염이 되었다고하여 지금 이틀째 항생제 주사와 항생제 및 알러지약을 복용받아 먹고 있습니다.

호전되고 있으나 아직 완전히 낫지않아 이틀 더 약을 복용 후 경과를 지켜봐야하는데요,

일주일 뒤에 화이자 백신2차가 예정되어있습니다

백신 맞는 병원에서는 자세한건 당일날 의사와 상담 후 결정할 수 있다고 하면서, 대부분의 알러지 약 복용자는 백신 접종을 하지 않으며 일주일정도 복용 중지를 권하고 있다고 합니다

일단 전 복용 중지가 어려운 상황인데,

다음주 백신을 맞아도 괜찮을까요?

복용중인 약입니다

메피솔론정, 베포탄정, 알레세틴정, 씨엠지모사프리드정, 씨엠지세파클러

에스로반연고까지 바르고있습니다

어제 항생제 주사 맞았고 오늘은 항생주사인지 모르겠지만 주사를 또 맞았습니다

답변 꼭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침착한태양새164
    침착한태양새164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변종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백신을 접종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먹지 않는 것을 권장하는 약들은 진통소염제류와 스테로이드류의 약들입니다.

    코로나 백신을 맞는 이유가 우리몸에 항체 형성을 하기 위해서인데,

    이러한 항체형성은 면역반응으로 인해 생깁니다.

    그런데 진통소염제류나 스테로이드류는 면역반응을 억제하기 때문에

    백신의 역할과 반대되는 역할을 합니다.

    항체가 형성되는 동안 약을 복용하지 않는 것을 추천합니다.

    백신맞기 1-2일전 백신맞고 최소 열흘정도는 복용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을까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준수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

    알러지 증세 완화를 위해 복용하는 항히스타민제와 감염원 사멸을 위해 사용하는 항생제 자체는

    코로나19 백신과 관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보며, 백신 접종 시에도 중단 대상은 아닙니다.

    다만 염증이나 부기 완화를 위해 처방에 포함되어 있는 스테로이드 제제인

    메피솔론정 (성분명: Methylprednisolone) 은 항체 형성 반응을 저해할 우려가 있어 중단 대상에 해당합니다.

    기저질환으로 인해 치료를 지속해야 하는 경우에는 주치의 선생님과 상의하신 후에

    기저질환 치료가 우선인지, 접종이 우선인지를 판단 하신 후에 치료 지속이나 백신 접종을 받으시길 권장드립니다.

    -

    알러지 자체는 백신 접종과 관련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경한 알러지가 있는 경우 예방접종 금기는 아니나,

    백신의 구성 물질에 아나필락시스와 같은 중증 알러지 반응 발생 이력이 있거나

    다른 심각한 알러지 병력이 있는 경우 상의가 필요합니다.

    화이자, 모더나 백신에서는 Polyethyleneglycol (PEG) 나 관련 성분에 중증 알러지 이력이 있는 경우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백신에서는 Polysorbate 에 중증 알러지 이력이 있는 경우

    접종 금기 대상에 해당되며, 두 성분은 구조적 연관성이 있어 교차 과민반응을 일으킬 수 있어 주의하여야 합니다.

    PEG는 약물, 대장 내시경 시에 사용하는 장세척제, 기침 시럽, 화장품, 피부 및 수술 중 사용되는 의료용품,

    치약, 렌즈 및 콘택트렌즈 등의 제품에서 발견되는 성분으로

    이러한 것들에 알러지가 있으셨던 경우 예진표에 기록해주시길 바랍니다.

    Polysorbate 는 이미 널리 예방접종 중인 폐렴구균, 자궁경부암, 로타바이러스 일부 백신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답변이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박승환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맞을때 조심해야하는 약은 다음과 같습니다.

    진통소염제나 스테로이드성분의 약은 백신과 반대되는 역할입니다.

    진통소염제나 스테로이드성분의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약들은 백신맞기 1-2일전 백신맞고 1주일정도는 복용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현승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질문자님께서 백신 접종이 예정된 병원에서 안내해주신 대로 시간이 지나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복용 중이신 약 중에서는 메피솔론 정을 제외하고는 백신 접종 전후로 복용을 피해야 하는 약은 없으며, 의사선생님이 환자 상태를 보고 약 복용을 중단할지, 지속할지 결정하게 됩니다.

    다음주에도 증상이 심각하다면 백신 접종을 미루셔야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용한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백신을 접종하게되면 우리몸에는 항체가 형성됩니다.

    이렇게 형성된 항체가 코로나로부터 우리몸을 보호합니다.

    그런데 진통소염제류나 스테로이드류의 약들은 이러한 항체형성을 방해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접종후 항체가 형성되는기간인 2-3주정도 기간동안은 약을 복용하지 않을것을 추천합니다.

    백신접종전에 약을 복용하고 있으시다면 접종하기 1-2일전에는 복용하는 것을 중단하는것을 권장합니다.

    좋은 답변이었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강여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백신이든 다른종류의 백신이든 원리는 같습니다.

    코로나백신 접종후 항체가 형성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백신종류별로 그리고 개인별 편차가 있지만 2-3주정도 생각하면 됩니다.

    스테로이드나 nsaids계 진통소염제의 경우 작용기전이 면역반을 억제하는 것입니다.

    항체가 형성된다는 것은 면역반응이 일어난다는 것인데,반대되는 역할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코로나접종후 2-3주기간동안은 약을 먹지 않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약을 복용하고 있다면 코로나백신 접종하기 2일정도전에는 중단하는게 좋습니다.

    그래야 코로나백신 항체가 제대로 형성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백신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은 가장 심한 경우 아나필락시스 반응이라고 불리며 호흡곤란, 두드러기, 혈압 저하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아나필락시스 반응은 예측이 불가능합니다. 

    다른 항원(약물, 음식)도 사람에 따라 아나필락시스가 생길 수 있지만 보통 특정 항원에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게 됩니다. 특정항원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인다고 해서 백신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는 얘기입니다. 때문에 미리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백신을 맞고 30분에서 1시간가량은 의료기관에 머물면서 증상을 관찰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질문하신 질환은 코로나 백신의 금기사항은 아닙니다만 개인의 선택으로 접종을 결정하면됩니다.

    일반적인 주의사항은 지속되는 두통, 발열, 근육통입니다. 시야흐림, 발작, 숨참, 흉통, 다리통증, 복통, 주사부위 이외에 점상출혈, 피부 멍 등이 나타나면 진료를 받아보길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송정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접종시 이점과 부작용여부를 주치의와의 상의하에 백신 접종여부를 결정하시어야합니다. 아나필락시스나 알러지가 있는 경우는 접종시 특히 주의를 요하기에 반드시 상의하에 접종여부를 정하시길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창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항생 주사를 맞고 항생제 및 알러지약을 먹고 있는데 백신 접종 가능한지 문의 주셨습니다.

    현재 복용 중인 약에 스테로이드 성분이 있어 면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 부분 관련하여 담당의사분과 상의하여 백신 접종을 언제 할지 결정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네 백신 접종 하셔도 됩니다.

    백신 접종을 받기 전 약물 복용 관련 고려사항

    백신 관련 부작용 예방 차원에서 백신 접종 전에 이부프로펜, 아스피린, 아세트아미노펜과 같은 일반의약품을 복용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약 복용이 백신 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그러나 다른 이유로 이러한 약품을 정기적으로 복용하는 사람은 백신 접종 전에도 계속 이를 복용하셔야 합니다. 또한 알레르기 반응을 예방하기 위해 COVID-19 백신 접종 전에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는 것도 권장하지 않습니다.

    백신 접종 후 부작용을 완화할 수 있는 의약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대부분의 경우, 다른 기저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해 일상적으로 복용하는 약을 COVID-19 백신 접종 시기에 삼가거나 중단 또는 연기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면역체계를 억제하는 약물을 복용하는 사람은 COVID-19 백신 접종의 효과와 접종에 가장 좋은 시기에 대해, 현재까지 알려진 것과 알려지지 않은 것을 두고 담당 의사와 상의해야 합니다. 중등도에서 중증까지의 면역부전 환자를 위한 COVID-19 백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약물을 복용하더라도 COVID-19 백신을 맞을 수 있습니다. 다음 약물 중 하나를 복용한다고 해서 COVID-19 백신 접종을 피할 이유가 없습니다.

    • 비처방약(일반의약품)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나프록센, 이부프로펜, 아스피린 등)

    •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등)

    • 자가면역질병 치료를 위한 생물학적 제제 또는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

    • 화학 요법 또는 그 외의 암 치료 약물

    • 항바이러스제

    • 항생제

    • 스타틴

    • 혈압약/항고혈압제(암로디핀, 리시노프릴 등)

    • 이뇨제

    • 갑상선 약물

    • 항우울제

    • 메트포르민

    • 당뇨병 치료제

    • 인슐린

    • 스테로이드(프레드니손 등)

    이것은 완결적인 목록이 아니며 일반적인 약물의 몇 가지 예를 제공한 것입니다. 이러한 약물을 복용해도 COVID-19 백신 접종이 유해하거나 위험하지 않습니다.

    복용 중인 약물에 대해 질문이 있는 경우, 담당의 또는 백신 제공자에게 문의하세요.


    https://korean.cdc.gov/coronavirus/2019-ncov/vaccines/prepare-for-vaccination.html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음식 또는 약물(항생제,조영제)로 중증 알레르기 반응이 있었던 분이면 예진시 체크사항이 있습니다. 알레르기 반응이 있었던 약물을 적어주시고 접종후 30분간 경과관찰 하는 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접종센터에는 중증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구급차 약물 응급키트등이 구비되어있으니 걱정하지 마세요. 중증 알레르기 반응있었던 분들께는 백신의 약물이 알레르기 교차반응이 일어날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설명드립니다. 땅콩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이 오징어를 먹는다고 알레르기가 생기지 않는것과 비슷해요. 실제로 중증 알레르기 반응이 있었던 환자분 500여명가량을 경과관찰 했고 교차반응이 일어나지 않았던 경험이 있어 접종을 권유하면서도 안심하는 편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문의주신 약이나 주사를 맞고 있어도 백신과의 큰 관련성은 없습니다. 항체생성만 약간 감소될 뿐 그러한 약을 복용한다고 해서 없던 부작용이 생긴다는 보고는 크게 없습니다.

    다만 해당 질환이 모두 치료가 되고 난 후 몸상태가 어느정도 회복된 상태에서 접종하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이미 몸에 스트레스가 많이 생긴 상태이며, 이때 백신을 접종하게 되면 몸에 더 심한 스트레스가 가해지기 때문입니다.

    우선 항생제 꾸준히 드시고 치료가 끝나면 백신 접종 권유드리며, 접종 전 의료진과 상담 후 접종하시면 크게 문제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전혜원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알러지가 있는 분들은 백신 접종 후 알러지가 생길 가능성이 없는 분들보다 높을 수는 있습니다만, 크게 걱정하실 정도는 아닙니다. 예진 받을 때 알러지가 있다고 설명하시고 접종 후 다른 증상들이 생기는지 잘 체크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만약 백신 접종 후 알러지 증상이 생기면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시면 됩니다만, 증상이 심해질 경우에 대비해서 응급실로 가실 수 있다면 가시는게 가장 안전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닥터최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 백신 접종 시 주의해야 하는 약으로는 혹시나 모를 백신의 효율성 감소 가능성으로 진통해열제, 진통소염제, 스테로이드 등은 미리 복용을 권고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임상적인 적응증이 있거나 만성질환으로 정규약으로 복용하고 있다면 그 복용을 지속해야 한다고 권고되고 있습니다. 항히스타민제도 미리 복용 시 알러지 반응을 가릴 수 있어 후에 중증 알러지가 생기는 것을 놓칠 가능성을 생각해 되도록이면 일괄적으로 접종 전 복용은 권하지 않습니다.

    스테로이드제의 경우 고용량(메칠프레드니솔론20mg >), 2주 이상 복용시 항체 형성을 방해하므로 미국에서는 3차 접종을 시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 보통 1,2차 와 같은 약제로 2차 접종 28일 후에 접종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현호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 복용하고 계신 약중 메피솔론정은 스테로이드 성분으로 항체 생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현재 감염 치료를 위한 목적으로 투약이 필요한 경우에는 항체 생성 감소를 감안하고 약을 드시면서도 접종하실 수 있으며, 염증이 호전되어 투약을 중단하실 수 있다면 해당약을 일시 중단하신 상태로 접종하실 수 있습니다.

    기타 항생제와 항히스타민제 성분의 약은 중단 없이 복용하시면서 접종하실 수 있습니다. 약을 처방해 주신 주치의 선생님과 현재 치료 과정과 복약 유지여부를 상의하시길 권유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병열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를 제외한 다른 약들은 백신접종 전후 발생한 질병을 치료할 목적으로 복용할 수 있습니다. 항생제, 소염제, 진통제, 항히스타민제 등 흔히 접하는 약들이 백신효과를 떨어뜨린다고 보고된 바가 없습니다. 걱정하지 말고 복용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민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평소 음식이나 의약품에 알러지가 있는 사람들은 아무래도 코로나19 백신접종 시 비슷한 증상이 나타날까 우려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코로나19 예방백신자체 또는 화이자, 모더나 백신의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백신의 polysorbate에 아낙필락시스와 같은 심각한 알러지 경험이 있는 분들은 금기대상입니다.

    음식이나 다른 의약품에 알러지가 있는 경우는 예방접종 금기대상은 아닙니다. 또한 백신으로 아낙필락시스를 경험하는 사람은 매우 드물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접종 전 의사선생님과 예진시에 말씀하시면 도움이 될것입니다. 접종 후 알러지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해 30분정도 휴식한 뒤에 귀가하시고, 귀가한 후에도 몇시간 정도는 주의깊게 경과를 살펴보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영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알러지 자체만으로는 백신 접종에 금기 사항은 아닙니다. 다만 특정한 물질에 알러지가 있는 분들은 다른 물질에도 알러지가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즉 음식 알러지가 있다면 특정 약물에 의한 알러지도 있을 수 있고 주사에 대한 알러지도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백신 접종 시 남들보다 신중할 필요는 있으며 주기적으로 알러지를 봐주시는 주치의 선생님과 충분한 상담을 하시고 난 이후에 안전하게 접종할 것을 권해드립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 항생제, 알러지약 치료를 받고있다면, 경과를 보아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몸상태가 완치되지 않는경우 백신접종을 연기하는게 좋습니다.

    항생제는 크게 관련이 없지만, 알러지약은 고용량의 경우 복용중지후 백신접종하는게 좋습니다. 정확한것은 접종당일 담당의와 상의해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로서는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그리고 항생제 알러지등의 기저질환자들이 약을 복용하고 있더라도 큰 문제는 되지 않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드시는 약 또한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나 너무 걱정이 된다면 약을 처방해주신 주치의 선생님과 충분한 상담을 거친 이후에 백신 접종을 고려하시길 바랍니다.

    다만 스테로이드나 면역억제제를 복용하고 있다면 이는 반드시 전문의 선생님과 상담 후 복용량을 조절하거나 일시적으로 끊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진성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 복용중인 약은 계속 복용하셔도 됩니다. 특정 약이 백신의 항체형성 반응을 저해한다는 근거는 없습니다. 하지만 접종 후 이상반응을 보인다면 현재 다니고 있는 병원에 한번 들러보시는게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