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

오키나와에 주일미군기지가 많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오키나와에만 미군이 약 25,000명 주둔하고 있고, 면적 10% 가량이 미군 기지로 활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오키나와 사람들은 이것에 큰 불만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데 왜 일본에서는 미군기지를 오키나와에 두게 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45년 제2차세계대전 당시 핵폭탄을 투하했던 미국이

    일본을 지배하고 있다는 상징적인 곳이 오키나와 미군기지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광대한 활주로가 미 해병대의 후텐마 기지이다. 보다시피 기지를 둘러싸고 도시가 형성되어 있기에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으며, 이 기지는 미군에 의한 오키나와 '지배'의 상징과도 같은 곳입니다.
    오키나와가 일본 귀속을 선택한 것은 미군기지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을 거라 믿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군 기지 철수와 같은 오키나와 주민들이 원하던 의제는 전혀 다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오키나와 주민들 빼고 모두가 오키나와에 주일미군이 있는 것을 원했기 때문. 실제로 2014년 7월 14일, 일본 최고재판소는 1972년 오키나와 반환과 관련된 소위 '오키나와 밀약' 문서의 공개를 요구한 소송을 기각하여 원고 패소 판결을 내렸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오키나와는 2차 대전 이후에도 27년간에 걸쳐 계속 미군의 통치 아래에 놓여있었습니다. 미군은 주민에게 총칼을 들이밀어 선조 대대로 살아온 땅에서 쫓아내고, 불도저로 집과 밭을 부수고, 연이어 기지를 만들어갔고 전후 80년이 지난 현재도, 아직 오키나와현 토지의 약 10%가 미군기지에 점유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오키나와에 대한 일본 정부의 차별적 대우로 인해, 일본 전체 미군 기지의 70%가 오키나와에 집중되어 있고 대만, 한반도까지 유사시에 있을 아시아 기지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미일안전보장조약에 근거를 두며 1945년 8월 15일 일본 제국이 미국에 항복하면서 주둔한 극동군이 그 원형입니다. 당시 43만명이 주둔했고 태평양전쟁 당시 오키나와 전투에서 큰 피해를 많이 봤기 때문에 일본 본토를 빠르게 제어해야 하겠단 미국의 전략으로 대인원이 투입되었습니다.

    처음 기지를 지을 때 오키나와는 미군정 치아에 있었고 당시 미군은 총검과 불도저로 땅을 뺏거나 헐값에 팔도록 강요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45년 8월 15일 태평양전쟁이 끝나고 일본이 항복하자 미군이 오키나와의 군사적요충지로써의 가치를 알아보고 군사기지로 사용하였습니다.

    그러다 1972년 일본에 반환하였고요.

    하지만 이후에도 임대형식으로 오늘날까지 미군기지로 사용하고있습니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