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갈수록자비로운독수리
갈수록자비로운독수리

저출산은 무엇이 제일 큰 문제일까요?

요즈음 저출산 이야기가 너무 많이 나오는데 무엇이 큰 문제일까요? 아이키우는데 드는 금전적인 부분이 클까요 아니면 육아 하는 시간적 부분이 더클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현재 저출산의 가중 큰 문제점의 경우에는 집값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집이 너무 비싸기 때문에 사람들이 아이를 낳으려고 하지 않고 있습니다.

  • 다양한 부분이 저출산의 문제가 될수있습니다

    집값이나 물가등의 상승 부분 또한 직업에 대한 불안정성 사회적 인식의 변화 등 다양한 요인이있을수있겠습니다.

  • 참 어려운 문제입니다. 저출산 문제는 한가지 이유라기 보다 다양한 이유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여성의 사회참여 증가 물가상승 교육비 부담 교육환경 주거공간 아이에게 드는 의식주 비용 등 등.

    부모가 둘 다 직장에 나갈 때 아이를 봐줄 사람이 없습니다. 돌보미를 고용한다해도 인건비가 비싸 사람을 쓰기도 힘이 듭니다.

  • 맞벌이가 당연시 되는 시대에

    출산이후 둘중 한명은 일을 그만둬야하고

    거기에 따르는 사회적 대책이 아직 미흡해서 이지 않을까요?

    육아 휴직, 출산 휴가가 있다고 하지만

    공무원, 공기업, 복지좋은 대기업만 사용하고 있으며,

    중견/중소기업 다니는 남편들은 거의 사용못하는게 현실이죠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아무래도 우리나라에서 저출산이 큰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경제적인 지원과 육아를 마음놓고 할 수있는 여건이 충분하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아기를 낳아 키우려면 비용이 굉장히 많이 듭니다. 당장 필요한 기저귀와 분유 값도 다달이 들어가는 비용이 수십만원대에 달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돈을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도 제대로 해주지 않으면서 출산율을 높이려 한다면 어느 부부가 아기를 낳으려고 할까요? 이러한 경제적인 지원은 필수입니다. 그리고 맞벌이를 하는 부부들에게는 회사는 기업 차원에서 육아와 관련된 지원을 확실히 해주어야 합니다. 육아휴직을 하는 사람들을 장려하고 권장할 수 있는 선진 기업의 분위기가 만들어져야 합니다. 이게 부족한게 우리나라의 현실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