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학의 분야에서 후성유전학이라는 것 무엇인가요?
유전학의 분야 중에서 후성 유전학이라는 건 어떤 걸 연구하는 학문이며 이 학문이 어떤 분야에서 응용이 가능한가요?
또 이 분야의 학문이 정립된 것은 언제 누구의 역할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후성유전학'이란 DNA 염기 서열자체에는 변화가 없지만 DNA의 구조나 크로마틴의 변형을 통해 DNA에서 RNA로의 발현이 외부 환경에 의해 변화할 수 있으며, 또한 유전정보가 다음 세대로 전달되는 분자기전을 연구하는 학문을 말합니다. 후성유전학은 다양한 사안에 대해 설명을 제공하는데, 환경적인 자극에 변화하는 유전적 변형의 경우, 유전자의 활동과 발현에 영향을 주는 염색체의 변화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또한 단백질성 감염인자이며 광우병 유발물질로 알려진 프라이온(prion)과 같이, 유전자의 변형으로부터 유래되지 않은 변화를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후성유전학은 유전자 자체의 변화 없이 유전자 발현이 조절되는 메커니즘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후성유전적 변화는 환경적 요인이나 생활습관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질병 연구, 신약 개발, 유전자 치료 등에 응용될 수 있습니다. 후성유전학은 20세기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발전했으며, 특히 DNA 메틸화와 히스톤 변형 연구가 이 분야의 기초를 세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후성유전의 핵심은 DNA 염기서열을 변화하지 않는 상태에서 유전자 발현의 조절에 대해서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후성유전학은 유전자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요인들의 연구를 다루는 유전학의 한 분야입니다. 이는 환경, 생활습관, 영양, 스트레스 등이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후성유전학은 건강, 질병, 신약 개발, 환경 문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습니다. 후성유전학의 개념은 1940년대에 처음 소개되었으며, 이 분야의 정립에는 윌리엄 랜드스와 콘래드 하들랜드 등이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