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가락을 떠는 건 무엇때문일까요?

2021. 03. 30. 09:19

핸드폰을 들고 잠시 다른 일을 볼때에

특히 검지 손가락이 본인도 모르게

흔들흔들 미세하게 떨리는걸

사람들이 말해서 알고 아직도 본인은

잘 모른다고 합니다.

맘이 급하면 더그런거 같은데

신경이 아주 예민한 사람이 더 그런건가요?


아하에 질문하고 궁금증을 해결하세요! 지금 가입하면 125AHT을 드려요! 아하에 질문하고 궁금증을 해결하세요! 지금 가입하면 125AHT을 드려요!

총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현호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손떨림을 의미하는 수전증은 가장 흔한 이상운동질환으로 기간을 두고 지속적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증상이 악화와 호전이 반복되기도 하는데 감정 상태나 불안, 피로에 의해서 떨림이 심해지기도 합니다.

수전증은 다음과 같이 특징과 원인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합니다.

말씀하신 증상은 4)의 가능성이 있으나 증상이 지속될 경우 원인 평가와 필요시 치료를 위해 신경과 외래에 방문하시길 권유드립니다.

1) 긴장이 사라진 상태에서 떨림이 심해지는 안정 떨림의 경우, 파킨슨 증후군과 관련된 질환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파킨슨병이나 약물에 의해 유발되는 떨림, 구리 중독에 의한 윌슨병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근육을 사용하는 동안 잘 유발되는 활동-자세 떨림은 흥분이나 불안 같은 감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특별한 병이 없이 떨리는 경우도 있으며, 대사성 질환, 약물에 의해서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3) 의도 떨림은 소뇌나 인접 구조의 질환으로 인해 나타나며 활동시 특히 운동 마지막 부분에서 심하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4) 본태 떨림은 가장 흔한 떨림 중 하나로 가족력이 있어 유전될 수 있으나 가족력 없이도 흔히 발견됩니다.

떨림은 나이가 들면서 점차 심해지지만, 다른 질병을 일으키거나 다른 질환의 증상으로 나타나지는 않습니다.

팔 부위에서 발생하고 이후 머리나, 목, 목소리 등에서도 떨림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본태 떨림의 치료에는 베타차단제가 주로 사용되며 , 항경련제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다른 종류의 떨림은 원인 질환을 치료함으로써 증상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2021. 03. 30. 11:24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기질적인 원인이 없는지 먼저 정형외과 방문하셔서 검사와 신체진찰 해보시길 바랍니다.

    그 이후에 기질적인 원인이 없다면 정신건강의학과 상담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집 근처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방문하셔서 전문의 문진과 정밀검사와 신체검사를 꼭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2021. 03. 31. 22:36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홍덕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수전증이란 손이 떨리는 증상을 말합니다.

      의학용어로 진전증 이라고 하며 온몸의 모든 부위에서 나타날 수 있는 떨림증의 한 종류입니다.

      떨림은 발생하는 상황과 형태에 따라 생리적(정상)과 병적(비정상)으로 나눌 수 있으며, 원인도 말초신경 부터 중추신경의 소뇌와 대 뇌의 질환까지 구별할 수 있습니다.

      수전증은 폭넓은 신경계의 문제이기 때문에 손뿐만 아니라 신체의 여러부위에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발, 머리, 눈, 입, 혀, 몸통, 목구멍, 성대, 몸통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수전증은 중풍도 아니며 단순히 손에만 국한된 문제도 아닙니다.

      정상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기 때문에 너무 당황하는 것도 옳지 않지만, 신경계의 이상에 따른 발현일 수 있기 때문에 심한 경우에는 전문의의 진찰을 받으셔야 합니다.

      2. 떨림증의 예후는 원인 질환에 따라 다릅니다.

      파킨슨씨 병이나 뇌졸중( 중풍 ) 에 의한 경우는 심한 후유증을 남기게 되지만, 가장 흔하게 접하는 본태성 진전 같은 경우는 별다른 후유증이 없습니다.

      단 진전이 다소 심해지면서 특별히 정교한 직업이나 작업이 불가능해 질 수도 있습니다.

      병적인 진전의 대표적 원인 질환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파킨슨씨 병의 경우는 수년에 걸쳐 계속 진행하면서 5-10년이 되면 약물에 대한 반응도 점차적으로 떨어진고 부작용도 나타나서 약물에 대한 반응이 일정치 않게 됩니다.

      2) 뇌졸중의 경우 손상된 신경의 부위가 중요하며 소뇌나 기저핵 같은 경우에 수전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치료가 어렵습니다.

      3) 윌슨씨 병 같은 유전적 질환의 경우 다른 질병에 비하여 비교적 조기 발병하여 소아에서 부터 나타나고, 병이 점점 진행하면서 파 킨슨씨병의 양상과 치매의 증상을 나타냅니다.

      4) 대사성 이상이나 약물중독으로 인한 경우 원인이 되는 이상이 교정되면서 진전도 같이 호전됩니다.

      2021. 03. 30. 14:49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수전증으로 문의주셨습니다.
        수전증은 소뇌의 질환으로 인한 떨림과 원인을 모르고 생기는 본태성 떨림, 이외에도 파킨슨 증후군에 속하는 질환들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치료로는 떨림의 원인에 따라 베타차단제, 항경련제 등을 사용해볼 수 있으며, 정확한 진료를 위해 신경과 내원하셔서 진료 받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2021. 03. 30. 14:24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