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가 한국에 정착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유교가 한국에 어떻게 정착을 하게 된 것인가요?
기존의 정서와 문화와 차이가 있다면 국민들의 생활상에 스며들기에 거부감이 있었을텐데
원래부터 한국에 있던 문화는 아니었던 것으로 알고 있는데 유교가 한국에 정착하게 된 계기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동아시아의 사상의 흐름은 크게 유교와 불교 그리고 도교인데, 한국은 이러한 세 가지 사상적 요소를 모두 흡수·구비하여 발전되어 왔습니다. 특히 불교는 삼국 시대 부터 정신적 지주 로서 백제 , 고구려, 신라에서 공인 되었고 유교 또한 삼국에서 ㅈㅇ교 보다는 학문적인 목적으로 자연스럽게 들어 왔습니다.
고구려는 372년 소수림왕 2년에 에 태학을 세워 제자를 교육하였고,지방 곳곳에 경당을 두어 청년들에게 유교 경전(經典)과 궁술(弓術)을 연마시켰습니다. 이것은 유교의 경전과 6예(六藝)로써 국민교육을 실시하였음을 의미합니다. 백제 또한 같은 시기인 근초고왕 때 박사 왕인(王仁)이 일본으로 《논어》(論語)와 《천자문》(千字文)을 전수하였다는 사실로 보아 유교 경전을 연구하는 기관이 설치되고, 유학사상이 널리 보급되었음을 미루어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삼국 시대에도 자연스럽게 자리 잡은 유학이 고려 시대에 주자학이 송나라에서 넘어와 더욱 발전 되고 조선에 건국 이념으로 자리 잡게 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 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통일신라는 무열왕계 왕권의 확립으로 유교사상의 구체적 정착이 마련되었고, 유교가 전제왕권의 정치이념으로서의 구실을 담당함으로써 한국유학사에 새로운 계기가 이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