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이 되는 이유는 전기를 많이 사요앻서 그러는데 실제로 많은 전기를 사용하면 땡겨쓰게 되어서 순간적으로 전기가 안오는건가? 아니면 다른이유??
정전이 되는 이유는 전기를 많이 사요앻서 그러는데 실제로 많은 전기를 사용하면 땡겨쓰게 되어서 순간적으로 전기가 안오는건가? 아니면 다른이유??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모든집이나 도시나 정전이 되는 이유는 동일합니다. 갑자기 너무 많은 전력을 사용하면 그만큼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그러면 그 전류로 인해서 저항이 높아지면서 열이 발생되어서 화재가 발생될수 있습니다. 따라서 특정 이상의 전류가 흐르게 되면 이런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력을 차단하게 되고 그러면 정전이 되는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
정전이 되는 이유는 단순히 전기를 많이 써서 그런 경우도 있지만, 그게 전부는 아닙니다, 우리가 전기를 많이 쓰면 전력 사용량이 급격히 늘어나고, 이게 한꺼번에 너무 많아지면 전력 공급 시스템이 감당을 못 해서 자동으로 차단되기도 합니다. 이건 전기를 땡겨써서 모자라는 개념보다 과부하나 안전문제를 막기 위해 전기를 잠시 끊는 것에 가깝습니다. 또다른 이유로는 배전설비 고장, 낙뢰, 공사중 사고, 발전소문제, 송전선로 문제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어느 지역에 있는 변갑기가 고장나면 그 주변 지역이 정전될 수 있고, 큰 발전소에서 문제가 생기면 더 넓은 지역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정전는 꼭 전기를 많이 써서 만 생기는 게 아니라, 설비이상, 자연재해, 안전 시스템 작동 등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정전은 전기를 많이 사용했다기보다는 송전라인의 이유가 있어서 발생되는경우가 대부분이죠. 아님 집안의 차단기가 누전을 잡아서 그런걸수도 있죠.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정전은 단순히 많은 전기를 사용해서 땡켜 쓰다가 아니라 공급 능력을 초과하거나 전력계통이 이상이 생겨 안전 장치가 작동할 때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가정에서는 한꺼번에 전열기구를 많이 쓰면 분전반 차단기가 내려가고 지역 단위에서는 발전소 송전선로 변전소 고장이나 과부하로 정전이 일어납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관련 원인으로는 전기를 많이 사용해서 순간적으로 전력 공급 용량이 초과하게 되어 전기끊기는 경우와 전력 설비 자체가 노후하거나 고장 나서 정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전기를 많이 사용한다고 해서 무조건 정전이 나는 것은 아니며, 설비가 감당할 수 없는 용량을 넘는 과부하로 인해 전기가 끊기는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노후된 아파트들은 변압기 용량이 작기 때문에 현재는 예전보다 전기사용량이 크게 늘어나 과부하 걸릴 경우가 많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