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코인 cost 이 뜻 이 맞는 건가요?????

코인 레버리지 투자 를 할때 가지고 있 는 시드가 500달러 이면서 레버리지 3배 로 격리 로 투자 를 한다면 그때 400달러를 amount 에 입력을 하면 아래 에 cost가 116usdt 로 나오는데 그뜻은 실제 로 제 500달러 에서 사용은 116usdt 를 사용을 하고 레버리지 를 사용을 했으니 코인을 매수한 금은액 은 400usdt 가 됐다는 뜻 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레버리지 거래에서 표시되는 "cost"는 레버리지 포지션의 담보로 사용되는 초기 자본의 금액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500의 시드로 3배 레버리지를 사용해 $400을 투자할 때, "cost"가 $116 USDT라고 표시된다면, 이 금액이 $500 중 담보로 사용되는 부분이며 나머지는 플랫폼에서 빌려와 총 $400의 포지션을 만든 것입니다. 따라서 실제 시장 노출은 레버리지로 인해 더 크지만, 초기에는 $116만이 위험에 노출된 상태입니다.

  • 안녕하세요. 황태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 레버리지 투자에서 "cost"의 의미와 격리 마진 방식으로 투자할 때 자금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궁금하신 것 같네요. 레버리지와 격리 마진 투자 방식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드릴게요.

    먼저, 레버리지 투자와 격리 마진(Isolated Margin)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첫째, 레버리지와 격리 마진(Isolated Margin) 투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 레버리지는 자신의 자본을 기준으로 몇 배의 자산을 거래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 3배 레버리지를 사용한다면, 자신의 자본보다 3배 많은 자산을 거래할 수 있는 것이죠.

    - 격리 마진(Isolated Margin) 방식은 거래 시 포지션마다 고정된 자금을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즉, 한 포지션에서 손실이 나더라도 다른 포지션에 영향을 주지 않게끔 지정된 금액만큼만 사용하는 것입니다.

    둘째, 질문하신 상황을 살펴보겠습니다

    - 시드(seed): $500

    - 레버리지: 3배

    - Amount: 400 USDT

    - Cost: 116 USDT

    셋째, Cost의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거래 시 나타나는 Cost는 포지션을 열 때 필요한 자금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Cost가 116 USDT로 나온 것은 레버리지 3배를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즉, 400 USDT의 포지션을 만들기 위해 실제로 사용된 자금은 116 USDT이고, 나머지 284 USDT(400 - 116)는 빌린 자금으로 구성됩니다.

    - 계산 방식: 레버리지 3배는 (1/레버리지 비율)로 계산하므로, 400 USDT (1/3) = *133.33 USDT**가 실제 필요 자금입니다. 여기서 일부 거래소는 약간의 추가 비용(수수료 등)을 포함하여 116 USDT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넷째, 코인을 매수한 금액의 의미를 이해해야 합니다

    - 400 USDT는 레버리지 효과를 통해 최종적으로 매수된 코인의 총 금액입니다.

    - 116 USDT는 격리 마진 방식으로 사용된 실제 자금으로, 여러분의 계좌에서 차감되는 금액입니다. 나머지 284 USDT는 빌린 자금이며, 이를 포함해 총 400 USDT의 매수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질문에서 Cost가 116 USDT로 나타나는 것은 실제 자본(500 USDT) 중에서 사용된 자금이 116 USDT라는 뜻이며, 레버리지를 사용하여 총 400 USDT 가치의 코인을 매수했다는 의미입니다.

    결론적으로, Cost가 116 USDT라는 의미는 실제 자본 중 116 USDT를 사용했고, 레버리지(3배)를 통해 총 400 USDT 가치의 코인을 매수했다는 뜻이 맞습니다.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