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상품 끝에 UH/H 는 무슨 차이인가요?
펀드나 ETF 상품을 보다보니 같은 상품인데 끝에 UH 나 H 붙어 있는게 있더라구요. 이 두가지의 차이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지금 가입한다고 하면 어느쪽이 유리한가요?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선 H는 "헤지", UH는 "언 헤지"라는 의미입니다. 전자는 환율 변동에 대해서 고정을 시켜 위험을 제거하는 것이고, 후자는 환율 변동에 그대로 노출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Hedge라는 용어가 "고정시키다.라는 뜻입니다.
안녕하세요. 조한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펀드나 ETF 뒤에 붙는 H/UH는 환헤지 여부를 표시한 것입니다.
H는 hedge(헤지)의 의미이구요.
따라서 H는 원달러 헤지를 해서 환율변동 위험을 없앴다는 뜻이고,
UH는 unhedge(언헤지), 즉 원달러 헤지를 하지 않아서 환율을 노출시켰다는 뜻입니다.
주식의 오르고 내리고랑은 별도로 미국 달러가 강세가 되면 환차익을 얻지만 달러약세가 되면 환차손을 입게 됩니다.
물론 헤지 하는데도 비용이 드므로 H형이 UH형보다 보수가 더 높습니다.
그리고 H형이라고 해도 원-달러만 헤지한 것이란 것을 주의하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유럽펀드면, 달러-유로는 환노출입니다.
어떤 해외펀드든, H형은 원-달러만 헤지한 것이고 달러와 그 나라 통화는 노출상태입니다.
미달러를 제외한 어떤 통화와 원화의 환율도 (원-그나라 통화)가 일대일로 환율이 책정되지 않습니다.
우리나라는 기축통화가 아니므로 모든 환율에는 가운데 달러가 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환 헷지 여부 입니다. UH는 환노출(언헤지)로 환율 변동성에 노출 되는 상품이고, H는 환 변동성을 헷지한 상품 입니다. 어느쪽이 더 유리하다거나 그런 것은 없습니다. 환노출을 한 경우에는 해당 자산의 화폐의 가치가 올라간 경우에는 추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으나, 반대의 경우에는 생각치 못한 손실을 기록할 수 있습니다. 투자 당시 상황 등을 잘 고려하여 판단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융상품 뒤에 붙어 있는 UH/H의 경우는 UH = UN Hedging으로 환노출형을 의미하며, H=Hedging으로 환헷지 상품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표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