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단팥소보로크림빵
단팥소보로크림빵

조선시대 아내를 쫓아낼수 있었다는 칠거지악은 어디서 유래한 것인가요?

조선시대에 조강지처인 아내를 남편이 쫓아낼수가 있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문헌에 명시된 칠거지악에 해당되어야 한다고 하였는데 칠거지악은 어디서 유래한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공자의 직계 후손들이 공자의 어록을 보관해놓은 공자가어에서 그 유래를 찾습니다.

    내용으로는

    여자로서 다섯가지 취하지 말아야 할 남자가 있습니다.

    반역자 집안의 아들, 인륜을 어지럽힌 집안의 아들, 대대로 형벌을 받은 집안의 아들, 대대로 악질을 앓은 집안의 아들, 아비의 상을 치르는 맏아들 입니다.

    부인으로서는 일곱가지 쫓겨남과 세가지 쫓겨날 수 없음이 있습니다.

    일곱가지의 내쫓음인 칠출이란, 부모에게 순종하지 않고 쫓아내는자, 자식을 낳지 못하는 자, 음란함에 빠진 자, 질투를 하는 자, 악질이 있는 자, 시비 걸거나 비방하는 것이 많은 자, 도둑질 하는 자 입니다.

    그리고 내쫓지 못하는 삼불거란 것은

    돌아갈 곳이 없는 여자이며, 자기와 함께 부모의 삼년상을 치른 여자이며, 먼저는 가난하였으나 뒤에 부유함을 이루게 되었을 때 같이한 여자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초기에 법제로서 통용된 대명률에 나온 내용으로 아내를 쫓아낼 수 있는 것으로 칠출 또는 칠거라고 불렀습니다. 첫째 시부모를 잘 섬기지 못하는 것 둘째 아들을 낳지 못하는 것 셋째 부정한 해위 넷째 질투 다섯째 나병 간질등의 유전병 여섯째 말이 많은 것 일곱째 훔치는 것 등이었습니다.

    조선말기에 제정된 조선조 최후의 법전인 형법대전에서는 질투와 무자식은 이혼조건에서 삭제하여 오불거라고 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칠거지악의 유래는 공자가 저술한 공자가어에 처음으로 이런 내용에 대한 언급이 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