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비뇨의학과 이미지
비뇨의학과의료상담
비뇨의학과 이미지
비뇨의학과의료상담
재밌는매252
재밌는매25221.08.18

갑작스럽게 옆구리를 심하게 아파해서 응급실에 왔어요

남편이 갑작스럽게 옆구리를 부여잡고 통증을 심하게 호소하며 데굴데굴 굴러서 깜짝 놀라서 119를 불러서 응급실에 왔어요.

다행히 지금은 진통제 주사를 맞고 많이 편해진 상태이긴 한데, 병원에서는 요로결석이 의심된다고 검사를 해보자고 하네요.

해보겠다고는 했는데, 요로결석이 의심되는 것이 맞나요?

요로결석이라면 어떻게 치료를 해야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현호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요로결석은 요로계에 요석이 생성되면서 소변 흐름에 장애가 생기면서 극심한 통증이나 요로감염, 수신증 등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옆구리 주변에 갑작스러운 심한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 요로결석인 경우가 가장 흔하며 일반적으로 임상증상과 CT 촬영을 통해 진단합니다. 크기가 크지 않은 경우 자연배출을 기대해보기도 하지만, 쇄석술을 통해 돌을 제거하는 시술을 하기도 합니다. 신장기능이 저하되어 있거나 요관이 늘어나 있는 경우라면 추가적인 시술 혹은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수분 섭취 감소가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절대적인 수분섭취가 감소하거나 땀을 많이 흘리면서 소변이 농축되는 경우에도 위험이 증가합니다. 동물성 단백질 섭취가 많거나 요중 칼슘이나 요산 증가도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언제든지 재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수분 섭취는 요로 결석을 예방하는 데 가장 중요합니다. 하루 1.5-2L 이상 수분 섭취를 권장하며 염분을 과다하게 섭취하는 경우 요중 칼슘농도를 높여 결석 발생 위험을 높이므로 적게 섭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수산화나트륨도 요로결석의 위험인자로 시금치, 땅콩, 초콜릿, 파, 양배추, 부추, 딸기, 당근 등의 섭취를 과도한 섭취를 피해야 합니다. 비타민 C를 과다복용하는 경우에도 요로결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칼슘이 많이 포함된 음식은 저지방 요구르트, 밀크셰이크, 치즈, 우유, 연어, 버섯, 아이스크림, 굴, 옥수수빵 등이 있으며 과도한 섭취는 요로결석 위험성을 높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네 말씀하신 대로 옆구리 통증이 있으면 등 뒤쪽 옆구리 통증의 경우 신장이나 요관 등에서 오는 통증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보통 신우신염이나 신장결석, 요관의 요로결석으로 인한 통증이 등과 옆구리 쪽으로 옵니다.

    또한 허리 근육 자체의 통증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옆구리와 약간 앞쪽이라면 장염이나 게실염, 맹장염 등도 의심 해야 하겠구요.

    신체검진상 신장쪽을 두드리면 심한 통증을 보입니다.

    요로결석.. 상당히 고통스러운 질환입니다.

    발생요인으로 고칼슘뇨증, 고수산뇨증, 고요산뇨증 등의 대사성 문제, 요로감염, 해부학적 비정상구조 등으로 기인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질적 원인에 수분섭취가 감소 해서 소변농도가 높아지면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지요.

    결석은 보통 신장에서 방광사이의 소변이 지나가는 길인 요관에 끼어 통증을 일으키게 되는 것인데요. 그러니 소변이 많이 만들어져서 펌핑을 해줘야 방광으로 결석이 내려가겠죠.

    그래서 수액을 많이 투여하고 필요하다면 수분섭취도 권장 합니다.

    산통이 심하기 때문에 진통제를 투여하고, 돌을 깨기 위한 체외충격파 시술을 합니다. 앞서 말씀드린 수액공급을 하구요. 줄넘기를 권장 하기도 합니다. 향후 재발을 방지 하기 위해 평소 수분을 하루 3L 이상 섭취 할 필요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요로 결석은 소변이 생성되어 수송, 저장, 배설되는 길(요로)에 결석(돌)이 생긴 것을 말합니다. 돌이 생기는 곳에 따라 신장 결석, 요관 결석, 방광 결석, 요도 결석 등으로 나뉩니다.

    요로 결석은 유전적 요인, 식이 습관, 생활 습관, 수술 병력, 요로 감염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소변 내 특정 물질이 과포화 상태가 된 후 결정이 생기고, 이것이 더 응집되어 커지면서 임상적으로 문제가 발생합니다. 특히 결석이 자주 발생하는 환자는 옆구리 통증, 요로 감염, 신우신염 등의 증상으로 고통받으며, 그 외에도 신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결석은 예방이 매우 중요합니다.

    요로 결석은 환자의 증상을 파악하고, 신체 검진, 소변 검사,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여 진단합니다. 요관 결석이 의심되는 환자는 등 쪽 부위를 살살 두드리면 통증이 더욱 심해지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요로 감염이 동반된 경우 소변 검사상 소변 내 백혈구가 증가한 농뇨와 세균뇨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단순 요로 촬영으로 결석을 확인할 수 있으나, 단순 방사선에 보이지 않는 결석을 진단할 수는 없습니다. 또한 요관 결석이 골반뼈에 가려지거나, 대변이나 다른 장기로 가려져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요로 조영술이나 전산화 단층촬영(CT)을 통해 요관 결석 유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으로는 다음과 같은것들이 있습니다.

    ① 수분을 충분히 섭취합니다. 이는 요로 결석 환자에게 가장 중요한 생활 수칙입니다. 하루 소변량이 2L 이상 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위해 적어도 하루 10잔 이상의 수분 섭취를 권장합니다. 구체적으로, 하루 3회 식사 중 2잔의 물을 마시고, 매 식간에 1~2잔의 물을 마시며, 취침 전에 물 1잔을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운동이나 땀을 많이 흘린 다음에는 추가로 충분한 수분을 섭취해야 합니다.

    ② 일반적으로 칼슘 섭취를 제한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루 3잔 정도의 우유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칼슘 섭취를 지나치게 제한하면 요석의 발생을 촉진할 수도 있습니다.

    ③ 저염 식이는 매우 중요합니다. 즉, 짜지 않게 음식을 드셔야 합니다.

    ④ 과다한 육류 섭취를 자제합니다. 육류는 소변 내 칼슘, 수산, 요산을 증가시키고, 결석의 생성을 막는 구연산을 감소시킵니다.

    ⑤ 수산이 풍부한 음식들(시금치, 초콜릿, 아몬드, 땅콩, 브로콜리, 딸기, 콜라, 코코아, 커피, 술 등)을 자주, 과량 섭취하는 것을 자제합니다. 그러나 수산을 소량 섭취하는 것은 결석의 위험성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습니다.

    ⑥ 고단백, 고지방 식이를 자제합니다.

    ⑦ 하루 2g 이상의 고용량 비타민 C 섭취는 고수산뇨증을 일으켜 결석 환자에게 좋지 않다는 보고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통상적인 용량(500~1000mg)의 비타민 섭취는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⑧ 구연산이 풍부하게 함유된 과일(귤, 레몬, 오렌지, 자몽, 매실, 토마토 등)과 채소를 충분히 섭취합니다.

    ⑨ 일반적인 식이 지침에 따라 생활해도 결석이 자주 재발하는 경우, 결석 원인에 따라 구연산이 함유된 약제나 이뇨제 등을 규칙적으로 복용함으로써 재발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약제를 처방받으려면 전문의와 상담해야 합니다.

    출처 - 서울아산병원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연철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옆구리 통증은 요로 결석의 대표적인 증상이지만,
    결석의 크기, 위치, 폐쇄 정도, 감염 여부 등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우선은 증상 조절을 위한 진통제를 투여하고,
    증상의 정도, 결석의 크기, 폐쇄 정도 등을 고려하여
    자연 배출을 기다리거나, 체외 충격파 쇄석술 등을
    계획할 수 있습니다.

    남편 분께서 잘 회복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남편분의 증상은 요료결석이 강하게 의심되는 증상이 맞습니다. 관련하여 소변 검사를 우선 확인 해보고, 혈뇨 등이 동반된다면 더욱 강력하게 의심되는 부분이며 CT 검사를 통해서 확진할 수 있습니다. 통증이 호전된 것은 단순히 진통제 효과에 의한 것이니 만큼 검사를 꼭 받으시고, 요로결석이 맞다면 비뇨의학과에 방문하여 쇄석술 등의 치료를 받으시길 권고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08.19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그정도로 심한통증이 급작스럽게 생겼다면 요로결석의 가능성이 큽니다. 치료는 초음파 체외쇄석술 등이 있으며 여러가지 영상검사로 진단이 가능합니다. 결석은 아주 심한 통증이 특징적인 질환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응급실에서 전문적으로 선생님들이 진료 하신 내용을 믿어 보십시오 요로결석 2 특정 적으로 보이는 신체 싸인 있습니다 CVA td. 라고 허리를 취해서 두드리면 통증이 더 심해지는 것입니다 하지만 확진검사 아니기 때문에 요로조영술 권하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요로결석으로 고생하고 계신 것으로 보입니다.
    요로계에 요석이 생성되어 소변의 흐름에 장애가 발생하여 격심한 통증이 발생하거나 요로 감염, 수신증, 신부전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충분한 수분 섭취가 가장 중요하며, 하루 1.5-2L 이상의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염분의 과다섭취는 칼슘뇨를 유발하고 구연산의 배설을 감소시키므로 염분 섭취를 줄이셔야 합니다.
    비타민C의 과다복용도 금지해야 하며, 단백질은 요로결석의 잘 알려진 위험 인자이므로 과도한 단백질의 편식도 삼가셔야 합니다.
    식이요법을 조절하시며 요로결석을 예방하시길 바랍니다.
    답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기본적으로 엑스레이는 촬영하니 복부 엑스레이를 촬영하고나서 요로결석 의심된다고 하셨겠죠?

    크기에 따라 치료가 달라집니다

    작으면 물을 마셔도 빠질 것이고, 크다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것입니다

    석은 유전적 요인, 식이 습관, 생활 습관, 수술 병력, 요로 감염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소변 내 특정 물질이 과포화 상태가 된 후 결정이 생기고, 이것이 더 응집되어 커지면서 임상적으로 문제가 발생합니다. 특히 결석이 자주 발생하는 환자는 옆구리 통증, 요로 감염, 신우신염 등의 증상으로 고통받으며, 그 외에도 신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결석은 예방이 매우 중요합니다.

    ① 수분을 충분히 섭취합니다. 이는 요로 결석 환자에게 가장 중요한 생활 수칙입니다. 하루 소변량이 2L 이상 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위해 적어도 하루 10잔 이상의 수분 섭취를 권장합니다. 구체적으로, 하루 3회 식사 중 2잔의 물을 마시고, 매 식간에 1~2잔의 물을 마시며, 취침 전에 물 1잔을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운동이나 땀을 많이 흘린 다음에는 추가로 충분한 수분을 섭취해야 합니다.

    ② 일반적으로 칼슘 섭취를 제한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루 3잔 정도의 우유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칼슘 섭취를 지나치게 제한하면 요석의 발생을 촉진할 수도 있습니다.

    ③ 저염 식이는 매우 중요합니다. 즉, 짜지 않게 음식을 드셔야 합니다.

    ④ 과다한 육류 섭취를 자제합니다. 육류는 소변 내 칼슘, 수산, 요산을 증가시키고, 결석의 생성을 막는 구연산을 감소시킵니다.

    ⑤ 수산이 풍부한 음식들(시금치, 초콜릿, 아몬드, 땅콩, 브로콜리, 딸기, 콜라, 코코아, 커피, 술 등)을 자주, 과량 섭취하는 것을 자제합니다. 그러나 수산을 소량 섭취하는 것은 결석의 위험성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습니다.

    ⑥ 고단백, 고지방 식이를 자제합니다.

    ⑦ 하루 2g 이상의 고용량 비타민 C 섭취는 고수산뇨증을 일으켜 결석 환자에게 좋지 않다는 보고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통상적인 용량(500~1000mg)의 비타민 섭취는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⑧ 구연산이 풍부하게 함유된 과일(귤, 레몬, 오렌지, 자몽, 매실, 토마토 등)과 채소를 충분히 섭취합니다.

    ⑨ 일반적인 식이 지침에 따라 생활해도 결석이 자주 재발하는 경우, 결석 원인에 따라 구연산이 함유된 약제나 이뇨제 등을 규칙적으로 복용함으로써 재발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약제를 처방받으려면 전문의와 상담해야 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 통증 부위와 강도를 보았을 때 요로결석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치료

    1) 대기요법
    요로결석의 자연 배출을 기다리는 방법이다. 결석의 크기, 모양, 위치, 주위의 부종 등을 확인하여 크기가 작고 요관 중간에 위치한 경우에는 자연 배출을 기대할 수 있다. 대기요법 기간 동안 통증의 예방을 위해 진통제를 복용하기도 한다. 특히 임산부의 경우는 요관 부위에 부목(관)을 유치하여 통증 조절, 감압, 자연 배출 등을 기대하면서 출산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보통이지만 적극적인 수술요법을 시행하기도 한다.

    2) 약물요법
    요석의 성분에 따라 용해제를 입을 통해 또는 신장 내로 투여하는 방법이 있지만 결석 성분에 따른 효과의 차이가 커서 신중한 사용이 필요하다.

    3) 체외충격파쇄석술
    체외충격파쇄석술은 수술 조작 없이 몸 밖에서 충격파를 발사하여 결석을 잘게 분쇄하여 자연 배출이 되도록 유도하는 치료법이다. 입원하지 않고 시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요로폐색, 출혈 경향이 있는 환자, 임산부, 가임기 여성 등에서는 금기이거나 시행여부를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쇄석술 후에 분쇄된 요석은 대개 2주 이내에 자연적으로 배출되며 3개월 후 시술의 성공 여부를 판정한다. 결석이 크거나 단단하고 콩팥 내 위치가 안좋다면 반복하여 시술하기도 하며 내시경적 수술을 고려하기도 한다.

    4) 요관경하 배석술
    요관을 통해 내시경을 통과시켜 결석을 분쇄 혹은 제거하는 시술 방법이다.

    5) 경피적 신쇄석술
    신장 내 결석의 크기가 큰 경우나 체외충격파쇄석술에 반응하지 않아 이후에도 큰 결석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피부를 통해 낸 구멍을 통해 내시경을 통과시켜 결석을 분쇄하거나 제거하는 경피적 신쇄석술을 시행할 수 있다. 최근 콩팥에 내는 구멍의 크기가 수 mm까지 작아져 이전보다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다.

    6) 복강경 및 개복수술
    최근 수술 기법과 기계의 발전으로 요로결석으로 인해 개복수술이나 복강경 수술을 하는 빈도는 많이 감소하였지만, 위에서 언급한 치료가 여의치 않는 경우에는 개복수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요관경하 배석술 모식도

    요관경하 배석술 모식도

    경피적 신쇄석술 모식도

    경피적 신쇄석술 모식도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네, 가능성은 높아 보입니다. 옆구리 통증을 호소하는 남성은 대부분 요로결석으로 오니깐요. 아마 소변 볼 때 피도 좀 나오고, 소변도 잘 안나왔을 겁니다. 요로결석의 크기에 따라 작으면 그냥 저절로 빠져나오는 것을 지켜보기도 하고, 크기가 크면 체외충격파로 돌을 깨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