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젊은관박쥐208
젊은관박쥐208

하늘은 파란데 해가 질 때 노을은 왜 붉은 색으로 보일까요?

아침에 해뜰 때, 저녁 해질 무렵 하늘은 붉은 빛을 띠는데 이유가 뭘까요? 바로 위에 하늘은 파란데 말이죠. 산란현상으로 들었는데 산란이 색과 무슨 연관이 있는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고운푸들16
    고운푸들16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햇빛은 다양한 파장의 빛이 혼합되어 있는데 이러한 햇빛이 대기층을 통과할 때 공기 중에 있는 수많은 입자들로 인해 산란이 일어나게 됩니다.

    저녁이 되면 태양의 고도가 낮아지고, 태양의 고도도 낮아지면 태양빛의 기울기가 작아져 통과하는 대기층이 길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파장이 짧고 산란하는 각도가 작은 파란빛은 대기층을 통과하지 못하지만, 대신 파장이 길고 산란하는 각도가 큰 붉은 빛만이 대기층을 통과하기 때문에 노을이 붉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먼ㅣ하늘이 파란 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산란입니다. 대기 중에는 수많은 먼지, 물방울, 공기 분자 등이 존재하는데, 이들은 빛을 산란시킵니다. 빛은 파장에 따라 다르게 산란되는데, 짧은 파장의 빛(파란색)은 더 많이 산란되어 공기 주변에 퍼지게 됩니다. 그래서 우리가 보는 하늘은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노을은 해가 지는 시간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해가 지향하는 방향에서 멀리 있는 대기를 통과하면서 발생합니다. 해가 지면 빛은 대기를 통과하기 위해 더 긴 경로를 거치게 되는데, 이 때 대기 중의 먼지, 수증기, 오존 등이 빛을 산란시킵니다. 이때 파장이 긴 빛(빨간색)은 짧은 파장의 빛(파란색)에 비해 덜 산란되어 남게 됩니다. 그래서 해가 질 때 노을은 주로 빨간색, 주황색, 분홍색 등으로 보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