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서머타임제도가 왜 사라진걸까요?
다른 나라는 많이 시행하는 제도라고 하던데
한국도 이 제도를 시행하다가
어느순간 부터 안하는걸로 알고있거든요
서머타임제를 안하게된 이유가 있을까요?
세계적으로 섬머타임제를 실시하는나라가 많지만 우리나라는 과거에 잠깐실시하고중단하였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실정하고는 안맞아서라고 하는것 같아요.
애초부터 우리나라는 썸머타임을 실시를 하지 않은 나라입니다.
가장 최근에 1987년~1988년에 실시했는데 이때는 올림픽을 원활하게 운영하기 위해서 해 떠 있는 시간이 더 필요했던 거죠.
그 이전의 썸머타임은 건국 초기에 2차례에 걸쳐 총 10년을 시행했었구요.
현실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썸마타임을 실시하게 되면 근무시간만 늘어나는 결과를 낳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도 않습니다.
출근은 한시간 일찍하고 퇴근은 또 해가 떠 있느니 제때 퇴근 못하고가 일어날게 뻔해 보이죠.
한국은 2005년 부터 2012년까지 8년간 서머타임제도를 시행했습니다 하지만 다양한 부작용으로 인해 2013년부터 폐지되었습니다
1 건강악영향
생체리듬혼란 - 서머타임은 일출 시간을 인위적으로 1시간 앞당기면서 생체 리듬과 자연 시간대의 불일치를 야기했습니다 이는 수면부톡, 피로, 우울증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 등의 건강 문제로 이어졌습니다 특히 성장기 청소년과 노약층의 건강에 더욱 악영향을 미쳤다는 지적이 많았습니다
교통사고증가 - 어두운 시간대에 출퇴근 및 하교를 하게 되면서 교통사고 발생률이 증가했습니다 실제로 2011년에는 서머타임 시행 첫 해 대비 교통 사망자가 13.7% 증가했습니다
2 경제적 비효율성
에너지 절약 효과 미미 - 서머타임의 주요 목적 중 하나였던 에너지 절약 효과가 미미하다는 연구 결과가 많았습니다 오히려 냉난방 사용 증가로 인해 에너지 소비가 오히려 증가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3 사회적 논란
국민의견분열 - 서머타임 도입 초기부터 찬반 논란이 뜨거웠습니다 건강 악영향, 경제적 비효율성, 불편함 등을 이유로 반대하는 의견이 많았고 에너지 절약, 여가 시간 증가, 경제 활성화 등을 기대하는 찬성 의견도 있었습니다 결국 국민적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한 채 폐지하게 되었습니다
지역 간 불평등 심화 - 서머타임은 전국적으로 일률적으로 시행되었지만 지역에 따라 일출 일몰 시간 및 생활 패턴의 차이가 존재했습니다 특히 남부 지역에서는 해가 늦게 뜨는 여름철에도 오전 일찍 출근해야 하는 불편함을 호소했습니다
한국에서도 과거에는 서머타임제도를 실시했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로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먼저는 우리나라는 지리적으로 일본이나 다른 대륙의 국가들보다 경도차이가 크기에
서머타임을 실시하게 되면 혼란스러울 수 있고 또한 일출과 일몰시간이 달라지는 것에서 오는
혼란 역시 컸기에 사라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