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치과

닉네임258
닉네임258

이가 썩어서 씌울때 본을 뜨고 위아랫니 맞출때 어떻게 하나요?

이가 썩어서 치료가 끝난뒤 씌울때 본을 떠서 맞췄는데 이를 껴보니 위아래가 어긋나서 다시 빼서 조정을 했는데도 높아서 안맞을때 상대편 이를 갈아서 맞추더라고요

생니를 갈아내면 막이 없어져서 상할수도 있다는데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치아를 사랑하고 아끼는 치과의사 최석민입니다.

    이가 썩어 크라운으로 씌우는 치료를 받으신 상태인 것 같습니다

    본을 떠서 기공소에 보내면 기공소에서는 크라운을 만들어 보내옵니다.

    하지만 기공 시의 오차, 본 뜨고 난 뒤 제작하는 모형에서 발생하는 어쩔 수 없는 미세한 오차 등으로 크라운이 아주 100% 정밀하게 제작되지는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치과의사는 처음에 환자한테 크라운을 껴주고 낀 상태에서 높은 느낌이 나는지, 양쪽 치아가 골고루 물리는지, 불편한 점은 없는지 검사를 해보고 이어서 교합조정을 시행합니다.

    이 교합조정의 과정은 환자가 원래 음식을 먹을 때처럼 양쪽이 골고루 물리는 느낌이 나도록 보철물의 높이를 조정하는 과정입니다.

    보통의 경우 교합조정은 보철물에 시행(구강 내에서 또는 구강 외에서)하며 대합치라고 하는 상대편 이를 갈아내는 경우는 예외적인 경우입니다.

    해당 진료를 시행한 치과의사의 적절한 판단 하에 자연치아에 그러한 교합조정이 아주 조금만 시행되었다면 큰 무리는 없을 것입니다.

    자연치아를 심하게 갈아내면 당연히 치아에 영향을 주고 치아 속 신경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허나 정상적인 진료 과정에서 생니가 상할정도로 막(법랑질과 상아질)이 없어질 정도로 심하게 갈아내는 경우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보철물을 세팅할때 대합치아가 너무 날카롭거나 해서 보철물이 파절될수 있다면 교합되는 치아를 다듬는 경우가 있습니다.

    치아의 강도에 문제가 없는 한도내에서 다듬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것으로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는 보철물을 삭제해서 교합조정을 합니다. 하지만, 교합이너무 긴밀한경우이거나 대합되는 치아가 너무 뾰족한경우에는 치아를 약간 다듬어야될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맞물리는 반대편 본인치아가 돌출된 부위가 있어 그 부위가 걸려서 잘 맞지 않는다면 본인치아를 조금 갈아서 맞추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가는 경우가 흔히 있습니다. 필요없는 부위 조금 가니 상하지는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