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트라제네카 1차 접종후 80 일이 지난후에 접종을 해도 효능에 문제가 있나요?
코로나19예방 접종 아스트라 제네카를 접종을 하였는데 2차 접종을 80일이 지난 후에 접종을 하여도 효능에 문제가 있지는 않나요? 개인 사정상 그때나 주사를 접종 해야 할것 갇은데요 아니면 조금 빨리 40~50일 사이에는 가능 할것 같은데요 어떤때가 좋을까요?유익한 답변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최적의 접종간격이 6주인지, 9~11주인지, 12주인지를 판단할 명확한 근거가 부족합니다. 다만 영국 정부는 지난달 30일 기자회견에서 백신 접종간격 확대 방침을 설명하면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접종간격을 12주로 할 때 면역 효과가 최대 80%까지 올라갔다는 연구 결과를 소개했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가 4주 간격 접종시 예방 효과가 평균 70%(저용량+표준용량 90%와 표준용량 62%)라고 발표했는데 이보다 좋은 성적입니다.80일간격도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현호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현재 국내에서 접종이 진행되고 있는 코로나19 백신인 화이자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경우
각각 2회 접종이 필요하며 말씀하신 것처럼 1차 접종 후 2차 접종 사이 간격에 차이가 있습니다.
접종간격은 화이자의 경우 21일이며, 아스트라제네카는 허가상 4~12주 이며 최근 1-2차 접종 간격이 길수록 효과가 증가한다는 임상 연구결과가 보고되어 기존의 8주에서 11-12주로 변경되었습니다. 80일이 지나셨다면 2차 접종은 가능합니다.
임상시험을 통해 지금까지 알려진 부작용은 모더나, 화이자, 아스트라제네카에서 모두 유사하게 나타납니다.
최근 유럽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후 보고되고 있는 혈전사례 대부분은 매우 드문 특이 혈전증으로 국내에서 백신 접종 후 보고된 사례는 유럽 사례와 일치하지 않았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의 이득이 접종 후 희귀혈전증 발생으로 인한 위험을 상회하므로 계속 접종을 권고합니다 (만 30세 미만에서는 접종에 따른 사망 위험성과 과 매우 드문 혈전의 위험이 비슷하여 접종을 보류하였으나, 만 30세 미만에서도 접종시 중증 예방의 효과는 매우 드문 혈전의 위험성을 상회합니다). 자가면역과 관련된 반응으로 추측되며 예방적 목적의 투약을 권고하지는 않습니다.
증상 발생시 해열제 (타이레놀)을 복용하시고, 복용 후에도 증상이 지속될 경우에는 내원하시어 추가적인 진찰 및 치료를 받으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일반적으로 발열, 근육통, 두통이나 접종 부위의 국소적인 증상은 3일 정도 지속되며 대부분 1주 이내 호전됩니다.
아울러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접종 후 내원하시어 진료를 받으시길 권유드립니다.
1) 접종부위 부기, 통증, 발적이 48시간 이후에도 악화되는 경우
2)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4주 이내에 호흡곤란, 흉통, 지속적인 복부 통증, 다리의 부기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 경우
3)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심한 또는 2일 이상의 지속적인 두통이 발생하며, 진통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조절되지 않는 경우 또는 시야가 흐려지는 경우
4)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갑자기 기운이 떨어지거나 평소와 다른 이상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5)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접종부위가 아닌 곳에서 멍이나 출혈이 생긴 경우
항체생성에 제한을 줄 수 있어 접종 전후 2주간은 다른 예방접종은 피하시는 것이 권장됩니다.
백신 접종 후 항체 생성까지는 약 2주간의 시간이 필요하며, 백신 접종 이후에도 집단면역 형성 전까지는 지금처럼 생활방역수칙을 지키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80일 지나서 2차 접종받는 것에 대해 최근 긍정적인 결론이 나온 상황입니다. 아직 코로나백신 효과는 계속해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는 과정으로 확실한 결론은 없습니다만 12주 정도 지나고 2차 맞는 것에 대해서는 효과가 더 좋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영국 옥스퍼드대 등의 연구진이 지난 2월 의학학술지 ‘랜싯(The Lancet)’에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6주 미만의 간격을 두고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2차 접종을 한 사람들의 예방 효과는 55.1% 정도에 그친 반면 12주 이상 간격을 두고 접종한 경우 예방 효과가 81.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이번 연구는 영국, 브라질, 남아프리카의 18∼55세 성인 17만178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 데이터의 재분석 결과입니다.
연구진은 논문에서 "백신 공급이 부족할 때 12주 간격을 두고 1·2차 접종을 하는 것이 가장 빠르게, 그리고 가장 많은 사람을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국내 보건당국도 최근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의 1·2차 접종 간격을 현행 10주에서 12주로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출처 : Lancet, Single-dose administration and the influence of the timing of the booster dose on immunogenicity and efficacy of ChAdOx1 nCoV-19 (AZD1222) vaccine: a pooled analysis of four randomised trials(’21.2.19)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연철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4-12주 간격으로
2회 접종이 가능한 것으로 허가되었습니다.허가된 간격 내에서 2차 접종을 늦게 접종하면
더 좋은 예방효과를 기대할수 있다고 알려져 있어
1차 접종 후 10-12주 후에 2차 접종을 권장합니다.그러므로 말씀하신 일정에 접종하는 것은
접종효과에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합니다.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보통 1차 접종 이후 8주에서 12주 이후에 접종을 권하고 있어 80일 정도라면 큰 상관 없어 보입니다. 아스트라제네카 제조사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8주에서 12주 사이라면 효과에 큰 차이가 없다라고 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아스트라제네카의 경우, 1차 접종 후 적정한 2차 접종 시기는 8-12주 후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80일이면 12주 이내이므로 괜찮을 것으로 보여지나, 오히려 4~50일은 적정 2차 접종 기간인 8주보다 짧기 때문에 권장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아스트라제네카의 1,2차 접종간격은 8-12주 사이면 괜찮은 것으로 권고되고 있습니다.
따라서,80일 후에 접종해도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오히려 40-50일이면 8주가 안되기 때문에, 그때 맞는것보다는 80일 이후에 맞는것이 더좋아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아스트라제네카 2차 접종 때문에 고민이시군요
예방접종은 사람마다. 환경이 다르니 1차 접종 하신 선생님과 상의하시길 보내 드립니다
전화 한 통화로 확실하게 해결하 수 있는 것은 전화로 문의하신게 더 나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8~12주 지나서 2차 접종을 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12주에 2차 접종을 하는 것이 좀 더 좋은 것으로 되어 있지요. 80일 지난 경우라면 12주 정도 될 거라 보여서 그 때 접종을 하셔도 될 듯 합니다. 참고로 미리 맞는 것은 효과가 떨어집니다.
서민석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