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

미국의 옐런 재무장관이 성장률 높아지고 물가를 정상화한다고 하는데 실제 성장과 물가의 관계를 고려할 때 경제학적으로도 가능한 부분인지요?

오늘 PCE 지표가 발표가 되고

미국의 옐런 재무장관이 '성장률 높아지고 물가를 정상화한다.' 이런 발언을 했습니다

그런데 성장률과 물가의 기본적인 관계를 고려해보면

소비가 활성화 되니 수요가 많아지고 그로 인해 자연스럽게 물가가 오르면서 경제는 성장한다고

설명할 수밖에 없는 구조가 아닌가요?

저는 현재 미국의 경제가 좋아서 물가가 쉽게 잡히지 않는다고 생각했는데

옐런 재무장관의 목표는 다른 것 같더라구요

경제학에서도 성장과 물가는 반비례가 가능한 영역이라 보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성장률이 높아지게 되는 경우에는 소비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는 물가의 재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어 옐런 재무장관이 말하는 목표값과는 차이가 있어서 실현되기 어려운 발언이라고 볼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그렇긴합니디만... 경제 성장이 생산성 향상에 기반한다면 물가상승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옐렌 장관은 현재 미국 경제가 성장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성장과 물가상승이 상충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생산성 향상을 통해 양립할 수 있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 성장률을 조금 포기하더라도 고금리를 지속해 물가를 잡으려고 하는 것입니다.

      경제가 성장하면서 물가가 오르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나, 지나치게 물가가 오르게 되면 경제 성장을 조금 포기하더라도 기준금리를 올려 물가를 잡으려고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안정을 위해 금리인상을 유지하며, 성장 잠재력을 끌어올리기 위한 기업의 투자 역시 확대돼야 하고 민간 고용부문도 확대되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라는 것 자체가 성장을 한다면

      어느정도의 물가상승이 동반될 수밖에는 없습니다.

      물가를 정상화한다는 것이 물가를 안정세를 갖추고

      더불어서 과도하게 인상되지 않겠다고 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