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LC은 어떤 원리로 가려지는 건가요?
지하철이나 사무실 내부등 보안이 필요한곳에 창문 및 유리 문에 PDLC로 시공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보내면 유리문이 가려서 외부에서 안을 보지 못하게 하는 등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데요 PDLC의 원리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또 장점과 단점은 어떤게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는 액정이 폴리머에 분산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전기가 공급되지 않으면 액정이 무질서하게 배열되어 빛이 산란되고 유리가 불투명해지는 원리로 가려지게 됩니다. 반면 전기 신호를 가하면 액정이 정렬되어 빛이 통과할 수 있게 되어 투명한 상태로 변화합니다. PDLC의 장점으로는 전기적 제어로 빠르게 투명도 변경이 가능하고, 사생활 보호 및 유연한 공간 사용이 가능합니다. 에너지 소비가 상대적으로 적고 열 차단에도 효과적입니다. 그러나 단점으로는 상대적으로 높은 초기 설치 비용이 포함될 수 있고, 큰 유리창의 경우 특정 각도에서는 약간의 흐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PDLC는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의 약자로, 폴리머(고분자)와 분산된 액정이 포함된 스마트 필름 기술입니다. 전기가 흐르지 않을 때는 액정 분자가 무질서하게 배열되어 유리가 불투명해집니다. 전기가 가해지면 액정 분자가 정렬되어 유리가 투명해지는 원리입니다. 장점으로는 프라이버시 보호와 에너지 효율이 있으며, 불투명 상태에서도 자연광을 일부 투과시킬 수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상대적으로 높은 비용과 전력 소모가 있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PDLC의 원리는 전기가 통하지 않을 경우에는필름 내부 분자들이 분산하기 때문에 직사광선을 투과시키지 못하게 되어 불투명한 상태로 변하게 되죠.
반대로 왼쪽처럼 전기가 통할 경우 내부 분자들이 매우 정렬하게 되면서 직사광선을 투과시키고 투명한 상태가 되는 원리입니다.
감사합니다.
PLDC와 같은 특성을 같은 부품이 유리문이나 창문에 자주 사용되는 이유가 있어요.
밖에서 안쪽을 봤을 때는 어두워보이지만
안쪽에서는 밖을 볼 수 있지요.
이게 가능한 이유는 액정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이 특수해서 그렇지요.
무슨 얘기냐면
전기를 공급해서 전압이 들어오면
액정을 구성하는 입자가 한방향으로 정렬이 되도록 배치가 되요.
그래서 광자가 액정을 통과할 수 있게 되어서
투명한 액정으로 보이게 됩니다.
반대로 액정에 전기를 공급하지 않으면
액정을 구성하는 입자가 아무렇게나 랜덤으로 배치가 되죠.
그래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빛 광자가
액정의 구성원소와 심하게 충돌을 하게 되고
빛이 액정을 통과하지 못해요.
참고로 PLDC라는 용어는 Polymer Dispsered Liquid Crytsal의 약자예요.
PDLC 필름은 전기 신호에 따라 투명과 불투명을 마음대로 변환할 수 있는 스마트 소재입니다. 이 작동 원리는 PDLC 필름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된 미세한 액정 입자가 전기가 흐르지 않을 때는 무작위로 방향을 향해 있어 빛을 산란시키고 불투명한 상태가 되지만, 전기 신호가 가해지면 액정 입자들이 일렬로 정렬되어 빛을 곧게 통과시켜 투명한 시야를 제공하는 원리에 기반합니다 이에 대한 장점은 뛰어난 프라이버시 보호, 자연스러운 조명 조절, 다양한 디자인 구현이며, 단점으로는 비교적 높은 가격, 전력 소모, 반응 속도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PDLC 필름은 특정 상황에서 효과적이지만, 모든 상황에 적합하지는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