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수려한콰가118
수려한콰가118

블록체인 서비스인 "아하"나 "퍼블리토"같은 댑을 이용할 경우 트랜젝션 확인은 어떻게 하나요?

현재 일반인들에게까지 공개가 된 댑(Dapp)인 이오나이츠 같은 게임들은 선택시 마다 트랜젝션을 발생하여 내가 어떤 동작을 했는지 블록IO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는데요. 아하나 퍼블리토, 데블 같은 인터넷 웹 기반 들은 사용자가 글을 작성할 경우 트렌젝션 확인은 어떻게 확인 할 수 있는지 궁굼합니다.

그리고 아하도 현재 이더기반인데 전혀 느리다는 생각이 않듭니다. 이더기반은 약13초 정도에 한번 트렌젝션을 발생하는것으로 알고 있고 블록체인 뉴스에서도 병목현상이 상당하다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전혀 느리다는 느낌이 들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마지막으로 이더는 트렌젝션마다 유저가 가스비를 지불해야하는데 아하 같은 경우는 전혀 그런게 없습니다. 무슨 원리이기에 그런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까칠한담비242
      까칠한담비242

      아하의 경우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온체인 상에서 구동되며 각 작업마다 트랜젝션이 발생하는 서비스는 아닌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하의 지식공유플랫폼은 웹 기반 플랫폼이지만 이더리움 ERC20 토큰 이코노미와 비트베리 지갑과 연동되어 서비스가 됨으로써 마치 온체인 상에서 구동되는 Dapp과 같은 일체감을 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유저들이 지식을 공유하고 플랫폼과 연동된 비트베리 지갑을 통해 AHT 토큰으로 즉각적인 보상을 받게 됨으로써 서비스에 대한 만족감이 커지게 되는 것이죠.

      실제로 AHT의 이더스캔을 확인해 보면 홀더가 많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은 비트베리 지갑 속에 있는 토큰이 외부로 출금 될 때만 온체인 트랜젝션이 일어나기 때문이 아닌가 싶네요.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