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이나 버스 등에서는 와이파이가 어떻게 작동하는건가요?
일반적으로 집이나 건물 등 실내에서는 랜선에 공유기가 연결되어 있어서 그 공유기가 와이파이 신호를 내보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고정되어 있는게 아닌 계속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지하철이나 버스 등에 있는 공용 와이파이는 어떻게 가능한건가요? 일반 와이파이랑 방식이 아예 다른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지하철과 버스 와이파이는 대중교통 내에 설치된 무선 라우터가 유선 인터넷에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발생시키면, 사용자의 스마트폰 등 기기가 이 신호에 접속하여 인터넷을 이용하는 방식이라네요. 오픈형 네트워크인거죠.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
지하철이나 버스 와이파이는 집처럼 고정된 인터넷 회선이 있는 게 아니라 이동통신망을 이용합니다. 차량 안에 통신사 LTE나 5G 신호를 받아주는 장비가 있고 그 장비가 다시 와이파이 공유기 역할을 해서 승객들에게 신호를 뿌려주는 방식입니다.안녕하세요. 박재화 전문가입니다.
지하철이나 버스의 와이파이는 보통 일반 가정용 공유기와 원리는 같긴 한데, 인터넷 백홀 연결 방식이 다릅니다. 이동 중인 차량에는 와이파이 공유기가 설치가 되어있고, 이 공유기가 통신사 망이나 지하철 전용 광케이블망에 연결됭ㄴ너 인터넷을 제공하는 구조라 보실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일반 와이파이의 경우 정해진 장소에 공유기가 있어서 그 공유기가 커버할수 있는 영역까지 데이터를 주고 받아서 정보를 공유기가 받아서 유선으로 이동시켜서 원하는 데이터를 다시 받아서 공유기가 주파수를 통해서 보내주는 원리입니다. 지하철이나 버스도 동일합니다. 핸드폰 가입 통신사 마다 기지국이 있어서 그 기지국에서 커버 가능한 지역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것입니다. 그래서 기지국이 더 많을 수록 겹쳐서 커버하는 구역이 많아서 커버가 가능하고 기지국이 적으면 그만큼 버퍼링이 생기거나 느려질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지하철이나 버스의 공용 와이파이는기본 원리는 집의 와이파이와 같지만 인터넷 연결원이 다릅니다 이동하는 차량에는 이동 통신사 LTE/5G 모뎀이나 전용 백홀 장비가 실려 있고 이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한 뒤 내부공유기사 와이파이 신호로 승객에게 제공합니다 즉 와이파이 자체는 동일한 기술이지만 유선망 대신 모바일 네트워크를 백본으로 활용한다는 점이 차이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전문가입니다.
지하철이나 버스에서는 이동식 와이파이를 가자고 있다고 보시면 답니다. 가령 도시락과 같은 이동식 공유기를 통해 버스나 전철 안에만 있으면 공유기에 대한 인식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수 있게 도와주는 방식으로 공유기가 도와준다고 보시면 될것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공유기 방식과는 다릅니다.
이동 중인 차량 내부에는 통신사 기지국과 무선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인터넷 신호를 유선으로 받는 것이 아니라 이동통신망을 통해 백홀 역할을 하여 무선으로 받습니다. 따라서 버스 안 공유기는 휴대폰 처럼 인터넷을 받고 와이파이로 바꿔서 승객에서 나눠준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