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영리한굴뚝새210
영리한굴뚝새21021.12.17

코로나 사망률보다 백신접종 사망률이 높다는게 진짜인가요?

확률이 어떻게되는지 궁금해요!!

코로나걸려서 사망할 확률이 높다고 정부에서 자꾸 겁을 주고 백신으로 통제하는데, 백신으로 사망위험이 더 높으면 맞는게 더 나쁜게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닥터최입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건수는 한국 기준으로도 수천만명 중 80프로 이상이 접종하였습니다. 통상 코로나19 감염증의 경우 백신 미접종자의 치사율은 1%를 상회하므로 백신 접종으로 인한 사망 위험률이 코로나19보다 높다면 현재까지 수십만명이 백신 접종으로 사망하였다는 수학적 계산이 가능합니다.

    현재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이 많아 보이는 것은 엄청난 수의 접종건수로 인한 결과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12.18

    안녕하세요. 안중구 의사입니다.

    백신접종사망률이 코로나로 인한 사망률보다 높다는것은 잘못 알려져 있으며 최근 하루 100명이 코로나 중증으로 사망하는 것은 방역에 실패했을때 실제 코로나가 얼마나 위험한지 보여주는 단적인 예입니다. 접종이 매우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아닙니다. 코로나 감염으로 인한 사망률이 훨씬높습니다..

    코로나 치료제도 현재 지속적으로 개발 연구 중이나 100% 코로나에 대처가 되는건 아닙니다. 머크사의 치료제는 실제 그 효능이 30%로 많이 낮춰진 상태입니다. 현재까지 알려진바는 중증으로 진행을 낮춰주고 그에 따른 사망률을 낮춰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약제 부작용이 아직 완전히 알려진것도 아닙니다. 심각한 부작용이 생겨서 사용중단 될수도 있습니다.

    현재는 예방이 최선입니다.


  •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한 사망률 보다 백신 접종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다는 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한 사망률은 전 세계적으로 1%대인 반면 백신 접종 후 사망률은 0.1%도 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의사입니다.

    조금 오래된 기사이기는 하지만 첨부합니다.

    백신으로 인한 사망확률이 코로나 19 감염보다 더 높다면 백신 접종은 중지되었을 것입니다.

    23일 0시 기준 백신 접종 현황으로는 18~29세 누적접종자는 251만8444명이다. 백신 접종자 대비 사망은 18~29세 연령층은 신고 기준으로 보면 0.0001% 수준이다. 사망이 인정된 경우로만 봐도 0.00004%로 극도로 낮다.

    30대 누적 접종자는 239만9229명으로 접종자 중 사망 신고는 0.0004%에 그쳤다. 사망이 인정된 경우는 20대와 같은 0.00004%다.

    반면 코로나19에 확진돼 사망할 확률은 이보다 크다. 질병관리청이 지난 26일 발표한 청장년층 코로나19 발생 현황에 따르면 20~29세 누적 확진자는 4만4375명, 30~39세 확진자는 3만6478명이다. 코로나19 관련 사망자는 30대가 11명, 20대가 8명으로, 치명률로 보면 각각 0.03%, 0.02%다.

    물론 고연령층인 Δ80세 이상 17.52% Δ70대 5.13% Δ60대 1.02%와 비교하면 크게 낮은 수준이지만, 백신 접종 후 사망할 확률과는 큰 차이가 난다.

    30대의 경우는 코로나19에 걸려 사망할 치명률이 백신 접종으로 사망한 사망률보다 75배 높고, 20대는 코로나19 치명률이 200배 더 높다.

    출처: 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1082807058027089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백신으로 인한 사망률은 매우 낮으며 코로나 바이러스의 후유증으로 사망하는 확률이 훨씬 높습니다.

    백신접종은 통제의 문제가 아니라 바이러스에 감염시에 중증도로 진행되는것을 방지하고 생존력을 높이는데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지영 의사입니다.

    코로나 감염으로 인한 사망률이 백신 접종으로 인한 사망률보다 높습니다.

    백신 접종 인구수가 코로나 감염 인구수보다 월등히 많다보니 생기는 오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

    질문자님께서는 코로나 사망률과 백신 접종 사망률에 대해서 궁금하시군요.

    이러한 수치를 단순히 비교해서 백신 접종을 맞는게 나쁘다고 생각하면 안됩니다.

    우선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이 백신 접종을 맞은 사람에 비해 현저히 적습니다.

    국내의 경우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이 누적 56만명 정도 되는데, 백신 접종은 국내 인구의 80%가 완료하였기 때문에 백신 접종 인구가 훨씬 많기 때문에 접종 후 이상반응이 더 많이 나타날 수 밖에 없습니다.

    또한 코로나 백신 접종 후 사망한 사례 중 백신으로 사망한 것이 인정된 사례는 단 2건 밖에 없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확률을 표현하는 것 자체가 의미가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가짜입니다.

    백신을 맞는것이 더 이득이 큽니다.

    ○ 1차접종 미접종자 예약

    * 2차접종 예약일은 1차접종일 예약과 동시에 백신별 접종간격에 따라 자동예약됨

    - 소아청소년(12-17세) : ’21.12.31일(금) 18시까지 예약

    - 18세 이상 성인: 상시 예약(계속)

    ○ 3차(부스터)접종 예약(얀센백신은 2차(부스터)접종)

    - 접종대상 및 접종간격

    ① 60세 이상, 18-59세 기저질환자* 및 감염취약시설·의료기관 입소자·종사자: 2차접종 3개월 후 3차접종

    ② 18-59세: 2차접종 3개월 후 3차접종

    ③ 얀센백신 접종자 또는 면역저하자*: 기본접종(얀센 1차, 나머지 백신 2차) 완료 2개월 후 접종

    * 기저질환자 및 면역저하자의 범위는 코로나19예방접종누리집(https://ncv.kdca.go.kr) > 알림·서식 > 안내문 > “3차(부스터)접종 면역저하자 및 기저질환자 범위” 참조

    - 백신 종류: 화이자 또는 모더나 백신


  •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

    미국 및 영국 11월 기준의 수치를 보시면,

    1. 미국

    코로나 1차또는 2차까지 접종인원수 : 약 2.4억명

    코로나 백신으로 인해 사망했다고 보고 한 인원수 : 약 8천건, 비율 : 0.003%

    공식적으로 인정한 백신으로 인한 사망자수 : 3명, 비율 : 0.00000125%

    2. 영국

    코로나 1차또는 2차까지 접종인원수 : 약 6천만명

    코로나 백신으로 인해 사망했다고 보고 한 인원수 : 약 1600건, 비율 : 0.002%

    공식적으로 인정한 백신으로 인한 사망자수 : 9명, 비율 : 0.000015%

    코로나로 인한 사망율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현재 코로나 감염자는 55만명 사망자는 4500명 정도이며, 확률상 0.01% 미만입니다.

    백신은 현재 약 4500만명이 접종했으며, 그중 사망자는 약 900명입니다.

    코로나 감염 사망률이 더 높으며 , 백신 접종 후 사망 가능성이 적으니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너무 가짜 뉴스가 많은 것 같습니다. 단순히 계산을 해봐도 현재 전 국민중에 4000만명이상이 접종을 완료했고, 사망 신고가 된 것이 대충 1000건이 넘습니다.(그 중에 직접 관련이 있는 경우는 많이 적습니다.) 코로나 확진자는 대략 55만명이고 그 중 누적 사망자는 4500명 정도 됩니다. 단순히 계산해 봐도 감염 후 치명율이 훨씬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으시겠지요?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코로나19 예방백신 접종으로인한 사망자는 12월 16일까지 총 977명이며,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는 12월 17일까지 총 4,591로 집계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