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미션과 외주는 어떤 차이가 있는 건가요?
여러 일러스트 작업을 하시는 분들의 설명에 보면 커미션과 외주 작업 가격을 따로 차이를 두어 명시하는 모습을 자주 보았는데 커미션과 외주 작업의 차이가 명확히 뭔가요?
커미션과 외주는 둘 다 클라이언트의 의뢰를 받아 요청대로 그림을 그려주고 그에 대한 대가를 지급받는 작업을 말합니다. 커미션은 개인에서 개인으로, 비영리적인 사용을 목적으로 거래하는 것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유튜브나 아프리카 방송 혹은 커뮤니티 활동 등에 한해 일정한 수수료를 지급하고 영리적 사용권을 주장할 수 있습니다. 자신을 위해 소장하고 있어야 하는 그림이라는 뜻으로, 수익성이 발생해서는 안 됩니다. 외주는 기업이나 단체 등에서 외부 업체나 프리랜서에게 특정한 업무를 맡기는 것을 뜻합니다. 외주로 받은 작업물은 상업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저작권은 클라이언트에게 양도됩니다. 따라서 커미션과 외주는 작업물의 용도와 저작권의 귀속 여부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커미션과 외주, 관련 업계에 있으면 구분해서 쓰지만 외부에서 보면 동일한 의미 처럼 들리는 용어입니다. 이 둘의 차이는 저작권의 차이 입니다. 커미션의 경우 저작권은 작업을 제작한 사람이 가지게 됩니다. 하지만 외주의 경우는 작품의 저작권이 제작자에게 있지 않으며 외주를 준 사람이 모두 가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100만원을 주고 업체에게 책을 만들어 달라고 했는데 그 책에 대한 저작권을 제작자가 가지면 커미션 계약입니다. 하지만 책 뿐 아니라 책에 대한 저작권까지 요구를 하면 그계약은 외주 계약입니다. 저작권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를 잘 알고 계약을 하고 작업을 해야 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커미션은 개인에서 개인으로, 비영리적 사용권에 대한 거래를 뜻합니다. 예를 들어, 유튜브나 아프리카 방송 혹은 커뮤 활동 같은 것에 한해 일정한 수수료를 지급하고 영리적 사용권을 주장할 수 있습니다. 외주는 상업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저작권은 클라이언트에게 양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