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rogermaan
rogermaan23.06.23

동남아 열대지방에 가면 많이 있는 에메랄드빛 바다 색깔의 생성 원리는 무엇인가요

우리나라의 바다는 색깔이 에메랄드빛이 없고 그냥 검거나 푸른색 인데요 동남아 열대지방으로 가면 에메랄드빛 아름다운 해변이 많이 있더라고요 이렇게 에메랄드빛 바다가 형성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가 색을 결정하는 것은 결국 바다가 태양빛을 받아서 어떻게 굴절되고 산란되는지를 알아야합니다. 또한 바다속에 이물질이나 다른 물질들이 많으면 산란과 반사로 인해서 색이 변할수 있습니다. 에메랄드 빛 파란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태양빛에는 파장에 따른 색이 있습니다. 그런데 수심에 따라서 파장이 흡수되는것이 다른데요. 표면에서는 파장이 긴 붉은색 계열의 빛이 흡수되고 깊이 갈수록 파란색계열의 빛이 흠수 됩니다. 따라서 깊이까지 가기 전에 파란색계열이 산란되면서 파란색 즉 에메랄드 빛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은 빛을 흡수하게 될 경우 파란색 파장을 반사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물이 많이 모일수록 파란색을 띠게 됩니다. 바다도 이와 마찬가지이며, 파란색의 정도의 차가 있는 이유는 바닷 속 지형에 의한 영향이 큽니다. 에메랄드 빛을 띠는 바다의 경우 주로 수심이 얕고 고운 모래가 많은 특징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열대 기후 지역의 해역은 주로 염분 농도가 낮은 특징을 가집니다. 이는 해양에서의 혼합과 확산이 적은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영양염분은 해양 생물이 성장하는 데 필요한 영양소인 질소와 인이 결핍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낮은 영양염분은 해조류나 다른 조류의 번성을 억제하고 바다를 투명하게 만듭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동남아 열대지방에서 자주 관찰되는 에메랄드빛 바다는 주로 특정한 지질적인 요소와 해양 생물의 상호작용에 기인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주요 요소와 관련이 있습니다.

    1. 지질적인 요소: 동남아 열대지방의 일부 해안 지역은 특정 지질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지역에서 자주 나타나는 백사장이나 해안암 등의 지형은 백토와 같은 지질물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지질물질은 물에 들어간 태양 빛을 반사하고, 태양 빛의 파장 중에서 에메랄드 빛을 강조하여 바다가 에메랄드빛으로 보이게 만듭니다.

    2. 해양 생물과 조류: 동남아 열대지방의 바다는 풍부한 해양 생물과 조류가 서식하는 지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해양 생물들은 광합성 작용을 통해 녹색 식물색소인 엽록소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이 엽록소는 빛을 흡수하고, 녹색 빛을 반사하여 주변 환경을 에메랄드빛으로 물들이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해조류나 미세 조류의 대량 발생이 이러한 색상 효과를 더 강조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남아 열대지방의 바다에서 나타나는 에메랄드빛은 지질적인 특성과 해양 생물의 조합으로 인해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바다의 색깔은 여러 요소들의 복잡한 상호작용으로 결정되므로, 특정 지역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물은 파란색 파장의 빛을 반사하기 때문에 파랗게 보입니다.

    여기에 클로로필, 산호, 낮은수심등이 결합되어 만나면 에매랄드 빛 바다색이 형성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에메랄드빛 바다 색깔은 식물성 플랑크톤에 의해 생성됩니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작은 단세포 유기체로 광합성을 통해 햇빛을 해양 생물의 먹이로 바꿔줍니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클로로필이라는 녹색 색소를 가지고 있는데 이 클로로필이 태양빛을 흡수하여 에메랄드빛을 띠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동남아 열대지방의 바닷물은 일반적으로 에메랄드 빛깔로 물들어보입니다. 이러한 색깔은 주로 해양 생물이나 해양 식물의 색소에 의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양 생물의 경우, 적색, 갈색, 녹색 등 다양한 색을 가지는 색소를 갖고 있습니다. 이러한 색소는 빛의 파장을 흡수하거나 반사하여 색깔을 만들어 냅니다. 특히, 녹색 색소인 크로로필은 해양 식물에서 많이 발견되며, 이 색소가 바닷물에 산출되면 에메랄드 빛깔의 바다를 만들어 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