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오늘배움
오늘배움

코픽스 금리가 어떤 금리인지 알려주세요.

기준 금리와 관련해서 자주 등장하는 용어가 '코픽스 금리'입니다.

'코픽스 금리'란 무엇이며, 어떻게 작동하는지, 어디에 적용되는지 알려주십시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코픽스금리는 대한민국내 8개 은행들이 제공한 자금조달 관련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산출되는 금리이히다. 콜금리에 이어 2010년 2월에 도입된 새로운 대출 기준금리입니다. 코픽스금리는 1개월마다 자본을 조달하는 것이 목적인 상품들인 CD, 금융채, 환매조건부채권,표지어음, 정기예금 등의 비용을 모두 고려하여 결정됩ㅓ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코픽스금리의 경우 은행이나 금융권이 자금조달을 하는 비용을 의미합니다. 주요 대출금리의 기준금리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금리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코픽스 금리란 여러 대표 은행들이 서로 자금조달비용지수를 통해 기준을 정해놓은 금리인데

    이해하기 쉽게 설명드리면 대출해주기 위해 은행은 여러 고객,기업들로부터 자금을 조달 받아 대출을 받습니다.

    그러면 끌어오는 돈의 금리를 말하는 것이고 그 기준이 코픽스 금리이며 보통 기준금리와 비슷합니다.

    그러면 여기서 각 은행별, 지점별로 +@ 이윤을 산정하여 시중금리를 만들어 대출해주고 이윤을 얻고 나머지는 다시 빌려온 고객,기업들에게 돌려주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코픽스 금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코픽스란 자금조달비용지수로 코픽스 금리란 은행의 자금조달비룡을 반영한

    새로운 대출 기준 금리를 의미합니다.

  • 코픽스 금리라는 것은 국내 시중은행들이 자금을 조달할때 드는 비용을 반영한 금리지표로서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의 기준금리로 주로 이용되는 금리입니다.

    은행들이 자금조달 비용의 가중평균으로 매월 15일에 한국은행이 발표합니다.

  • 안녕하세요.

    코픽스 금리란 자금조달비용지수를 의미하며 은행들이 자금을 모으는데 드는 비용을 반영한 지표입니다. 이는 주로 변동금리부 주택담보대출의 기준금리로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시중은행들의 조달금리를 평균하여 산출한 금리로 코픽스 금리를 기준으로

      대출금리를 산정하는 방식입니다

    • 대출금리에 특히 영향을 미치는 금리는 기준금리 보다 코픽스 금리가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코픽스 금리'는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기준 금리를 의미합니다.

    한국은행이 시장에 제공하는 금리로서 시장금리의 기준이 됩니다. 코픽스 금리는 한국의 경제 상황과 통화정책에 따라 조정되며, 주로 은행들이 대출이자나 예금 금리를 결정할 때 참고하는 기준이 됩니다. 또한 코픽스 금리는 주택담보대출 금리나 기업대출 금리 등 다양한 금리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코픽스 금리는 은행들이 실제로 자금을 조달할 때 드는 비용을 반영한 금리입니다. 은행들이 예금, 적금, 채권 등을 통해 자금을 조달한 비용을 기준으로 산정합니다. 주로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의 기준 금리로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코픽스(COFIX, Cost of Funds Index)는 한국의 금융기관들이 자금을 조달하는 비용을 반영한 금리 지표입니다.

    이 금리는 주로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 산정의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코픽스는 다양한 자금 조달 방법의 평균 비용을 기준으로 하여 매월 발표되며, 금리 변동이 대출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코픽스(COFIX)는 Cost of Fund Index의 줄임말로 전국은행연합회에서 매월 고시하는 금리인데요. 

    고시를 통해 금융소비자들에게 적당한 기준을 제시하고, 투명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고시는 매월 공시하고 은행은 이 기준에 따라 금리를 적용해 금융상품을 만들어 팔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