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우주관련 책을 읽다가 이해가 안돼서 물어봐요

제목그대로에요 책에서 성운설에 대해 나오는데 거대먼지와 가스 구름이 회전하면서 행성을 이룬다는데 왜 태양에서 멀리 떨어진 행성일수록 생성된지 오래 된것이라고 하는거에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박조훈 전문가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성운설에 따르면 태양계는 거대한 가스와 먼지 구름이 히ㅗ전하게 되면서 점차적으로 물질이 모이게 되었꼬 중력에 의해 뭉치면서 형성되었따고 이야기를 하지요~ 태양계는 45억년 전 회전하는 거대한 가스와 먼지 구름이 중력에 의해 붕괴되면서 싲가되었꼬 구름이 회전하며 점차 평평한 원반 형태를 띄게 되면서 중심에 대부분의 물질이 모여 태양을 형성하고 그 주변에 원반 형태로 가스와 먼지가 남아 행성계를 형성한것으로 보고 있지요~ 행성은 원반속에서 미세 먼지 입자들이 뭉치고 충돌하는ㄱ ㅘ정을 거치며 커지게 되었으며 중력과 회전 운동의 상호작용으로 물질이 모여 초기행성을 형성한 후 점차 물질을 흡수하며 성장하여 태양에서 가까운 곳은 온도가 높아 암석형행성을 태양에서 멀리 있는곳은 낮은 온도로 가스형행성을 형성하게 되었습니다. 태양에서 멀리 떨어진 행성들이 생성된지 오래된것처럼 보이는것은 태양계 형성 초기에 태양에서 가까운 지역이 매우 뜨거웠꼬 먼지와 가스가 충분히 냉각되고 고체로 ㅁ우치는 과정이 더디게 이루어지는 반면 태양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은 상대적으로 차가워 더 빨리 응축되고 가스와 먼지들이 쉽게 뭉치게 된것이지요~태양에서 가까운곳은 고온으로 휘발성 물질이 기체상태로 존재하였꼬 빠르게 태양바깥으로 날라가게 된것입니다~ 태양에서 멀리 떨어진 곳은 더 많은 가스와 얼음 물질이 존재하게 되며 이곳에서 형성된 행성들은 암석형 행성보다 더 빠르게 성장가능하게 된것이지요~ 따라서 태양에서 멀리 떨어진 행서이 생성된 시점이 실제 생성시점에서 더 오래된것이 아닌 형성 과정이 빠르게 이루어졌다는것을 의미하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