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세계식량가격 상승이 추후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이어질까요?
이번에 기사를 보니까 11월 세계식량가격 0.5% 상승하여 지난해 4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하더군요.
그렇다면 11월 세계식량가격 상승이 추후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이어질까요?
안녕하세요. 박경영 경제전문가입니다.
11월 세계식량가격지수가 전월 대비 0.5% 상승하여 지난해 4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식량 가격 상승은 향후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식량 가격 상승과 인플레이션의 관계
직접적인 영향: 식량은 소비자물가지수(CPI)의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식량 가격이 오르면 CPI 상승으로 이어져 전반적인 인플레이션을 촉발할 수 있습니다.
간접적인 영향: 식량 가격 상승은 운송, 가공 등 관련 산업의 비용 증가를 초래하며, 이는 최종 소비재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현재 상황과 전망
품목별 동향: 11월에는 유지류 가격이 7.5% 급등한 반면, 곡물과 육류 가격은 하락했습니다. 이러한 품목별 가격 변동은 전체 식량 가격 지수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기후변화 영향: 기후변화로 인한 작황 부진이 식량 가격 상승의 주요 요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으며, 이는 장기적인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결론
최근의 세계식량가격 상승은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품목별 가격 변동과 공급망 상황, 기후변화 등의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므로, 전반적인 인플레이션 추세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1달 상승이 인플레이션 우려를 만들어낼수는 있지만, 실제 물가 상승이 되려면 몇 달은 상승추세가 나타나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식량의 가격은 모든 물가의 근간을 이루고 있습니다
다만 식량 가격은 과거 코로나 시기와 우크라이나 전쟁 사태 때 이미 많이 올랐고
각국의 물가에도 반영이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생각보다 현재 우리나라 경제에 인플레를 크게 유도하긴 어려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현재도 그러하고 있구요.
우리가 경제성장률이 있어서 못 느끼는 것이지
매년 평균 2.5% 정도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 폭이 더 커지냐 마냐인데 개인적으로 조금 더 상승할 수 밖에 없는 것이
이제는 기후변화가 보다 극단적으로 뚜렷해지고 있고 기존 살림이 파괴되고 있다고 합니다.
그것을 다른 지역으로 다시금 가꾸는데에는 시간이 필요한데 그것보다 훨씬 빠르게 피해를 보고 있어
인플레이션 상승추세가 조금 더 가팔라질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11월 세계식량가격상승은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지만,
단기적인 영향을 넘어서는지 여부는 경제 요소 상호작용에 달려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