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굳건한애벌래63
굳건한애벌래63

맞춤법 잘 맞추는 팁이 뭔가요?

맞춤법을 잘 몰라서 그러는데 뭘 하면 잘 맞출 수 있을까요? 제가 항상 친구들과 대화를 할 때 맞춤법 때문에 불편함을 많이 느꼈습니다. 그래서 지금이라도 맞춤법을 잘 맞추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후루뚜
      후루뚜

      맞춤법을 처음부터 공부하기보다는

      실생활에서 사용할 때마다

      이게 맞는 말인가 궁금한 것들 있잖아요?

      예를들어

      돼/되

      데/대

      웬/왠

      등등 다양하게 있는데

      이것은 궁금증이 들 때마다 인터넷 검색해 보시면서

      그때 그때 익히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실전에서 사용하기 전에 아 이거구나 하고 그 단어를 반복적으로 쓰다보면

      자연스럽게 그게 표준어인 것을 알게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제 생각에는 주기적으로 한글 파일이나 워드 같은 걸로 여러가지 글 같은 걸 써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해요!!

      생각보다 맞춤법 오류 잘 잡아주고 고치다보면 문장력도 늘더라구요 ㅎㅎ

      하지만 평소에 글 쓸일이 별로 없다면(저는 블로그 활동 등을 해서 글 쓸일이 꽤 있지만 없을 수도 있으니까요) 자동완성 기능을 맞춤법이 익숙해지기 전까지 켜놓는 것도 좋은 방안일거 같습니다!

      물론 자동완성이 불편하기는 하지만 확실히 큰 범위에서의 문법적 오류는 자동으로 잡아주는 역할을 해요!

      조금 쓰시다가 익숙해지시면 자동완성 기능을 끄고 맞춤법 맞는지 테스트 해보는 것도 좋을거 같아요.

      도움이 되시면 좋겠습니다!!!

    • 인터넷에 헷갈리는 맞춤법 정리해논것들이 많아요. 일단 급하게 해결하시려면 속성으로 그것을 보시고 평소에 책을 많이 읽는 것을 추천드려요!! 아니면 한글문서작업에 맞춤법 검사있으니 평소에 생각나고 하고싶은 이야기나 말을 한글문서로 쭉 써보고 맞춤법 검사 돌리셔서 어떤 부분을 틀리고 맞았는지 계속 인지시켜주세용~

    • 잘 모를때마다 검색해보세요! 당연한 얘기긴 하지만 계속 검색해가면서 공부도 되는거고 저절로 외워지게 되니 지금은 맞춤법이 어려워도 하나하나 알아가면 나중에는 맞춤법 마스터가 될 수 있을겁니다!

      보통 많은사람들이 헷갈려 하시는 돼/되 같은경우 해/하 를 대입해서 생각해보시면 쉬워요!

      예를들어서

      다 했어?- 다 됐어?

      될까요? -할까요? 이런식으로요^^

    • 맞춤법을 잘 하려면 역시 맞춤법을 공부하고 책을 많이 읽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위의 방법들은 시간이 많이 걸리죠.

      그러니 제가 봤을 때 인터넷에서 사람들이 가장 많이 틀리는 맞춤법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되 / 돼

      인터넷에서 가장 사람들이 가장 많이 헷갈리고 댓글로 가장 많이 지적이 달리는 맞춤법이

      되 / 돼 일 것입니다. (제 주관적인 선정입니다)

      이는 [되 / 돼] 가 들어갈 자리에 [하 / 해] 를 바꿔서 넣어보면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안 되/돼 나?] 를 [안 하/해 나?] 로 바꿔서 생각해본다면

      [안하?] 는 말이 어울리지 않으므로 [안되?] 도 틀린 맞춤법이 됩니다.

      하지만

      [안해?] 는 말이 어울리므로 [안돼?] 도 맞는 맞춤법이 됩니다.

      [되 / 돼] => [하 / 해] 이 법칙만 기억하면 더 이상 이 맞춤법은 틀리지 않으실 겁니다.

      2. 몇일 / 며칠

      인터넷에서 사람들이 많이 틀리는 맞춤법 두번째(제 주관적인 선정입니다)는 아마 몇일/며칠 일 겁니다.

      [몇년 몇월] (0) 이 맞는 맞춤법이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몇일] 도 맞는 맞춤법일 거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며칠]이 맞는 맞춤법입니다.

      즉,

      몇년 몇월 몇일 (x)

      몇년 몇월 며칠 (0)

      이 되는 겁니다.

      3. 낳다 / 낫다

      사람들이 많이 틀리는 맞춤법 3번째!(역시 주관적인 선정)

      낳다 = 아이를 낳다 ( 낳다의 ㅎ 은 후손의 ㅎ)

      낫다 = 상처가 낫다 / 이 물건이 더 낫다 (낫다 의 ㅅ 은 상처의 ㅅ)

      이렇게 생각하고 외우면 헷갈리지 않을 겁니다.

      위의 세개만 안 틀려도 친구들과 채팅할 때 훨씬 수월할 겁니다.

      부록.

      맞춤법은 아니지만 인터넷에서 사람들이 많이 틀리는 부분

      2분의 1 = 2/1 (x)

      2분의1 = 1/2 (0)

      많은 한국 사람들이 분수를 키보드로 표현할 때 읽는 그대로 쓰는 실수를 합니다.

      2분의 1 이라고 읽으니 컴퓨터로 칠 때도 2/1 이라고 칩니다. ㅜㅜ

      하지만 2/1 = 2 입니다.

      / = 분수에서 가운데 부분을 기울여서 쓴 것임을 생각하면

      분자 / 분모 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