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모두가 하나되는 그 순간 까지
모두가 하나되는 그 순간 까지

문어의 빨판과 개구리의 빨판은 구조가 같은건가요?

연체 동물이 문어와 파충류인 개구리의 빨판.

다리와 발바닥의 빨판은 원리가 비슷하다고볼수있나요? 잘 붙고 유리나 물체에에서 떨어지지않은 원리가 비슷한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되알진개미새214
      되알진개미새214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문어와 개구리의 빨판은 모두 물체에 붙잡히는 데 사용

      되지만 작동 원리는 유사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습니다.

      의 빨판은 근육으로 둘러싸인 움푹 들어간 컵 모양

      구조입니다. 빨판의 중앙에는 작은 구멍이 있으며 문어는

      근육을 수축시켜 빨판 아래의 공간을 비웁니다.

      이렇게 하면 압력이 감소하여 빨판 주변의 물이 빨려

      들어오고 이로 인해 물체 표면에 강력한 흡착력이 발생합니다.

      문어의 빨판에는 점액 분비선이 존재하며 이 분비물은

      흡착력을 더욱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문어의 빨판은 유연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표면

      에 밀착될 수 있습니다.

      개구리의 빨판은 피부 표면에 분비된 점액 물질에 의해

      끈적임을 유지하며 이 점착력을 통해 물체에 붙잡힙니다.

      개구리의 빨판 표면에는 미세한 융기가 존재하며 이는 표면

      적을 늘려 점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개구리의 빨판은 촉촉한 상태를 유지해야 점착력이 발휘

      되며 건조하면 붙잡히는 능력을 잃습니다.

      문어와 개구리의 빨판은 모두 물체에 붙잡히는 데 사용되

      지만 작동 원리는 다릅니다.

      문어의 빨판은 흡착력에 의해 붙잡히는 개구리의 빨

      판은 점착력에 의해 붙잡힙니다.

      두 빨판 모두 유연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표면에 밀착될

      수 있습니다.

      문어의 빨판은 매우 강력한 흡착력을 가지고 있으며 매끄러운 유리

      표면에도 쉽게 붙잡힐 수 있습니다.

      개구리의 빨판은 문어의 빨판만큼 강력하지는 않지만 끈적임을

      통해 다양한 표면에 붙잡힐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